학술논문
기혼여성의 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비교
이용수 7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남순현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187~2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 및 성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교부부 기혼여성 330명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337명이 였다. 첫째, 변량분석 결과, 도덕적 성태도와 성적 통제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전통적, 도덕적,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표현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통제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문화강좌이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핵심 지표로써 부부간의 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하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줌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