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이용수 81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순혜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17권 제4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arter의 자아체계 모형을 기본 가정으로 하여 자존감 결정요인을 자기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
로 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를 활용
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의 4차 자료(2007년도)와 중학교 2학년의 4차(2007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같
은 시기에 중학교 1학년과 같은 해에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이며 표집인원은 중
학생 2,844명 고등학생 3,44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패널자료의 문항 중 Harter(1982)의
SPPC(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검사에 있는 역량지각 측정 문항, 그리고 사회적 지지 측정 문항과
의미가 유사한 문항들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존감의 결정요인으로 영역별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를 포함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둘째, 자존감의 결정요인으로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를 포함시킬 수
있지만 자존감과 하위요인들은 독립적으로 분리해서 측정해야 하며,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자신에 대한
전반적 가치감인 자존감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셋째, 자존감 결정요인들의 영향력은 학업역량에서 가
장 크게 나타나 신체외모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넷째, 자존감 결정
요인들의 영향력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요인은 교사지지였고, 중학생이 교사지지를 더 높게 지각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인지․사회․정서 면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자존감을 형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개입할 때,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I
- 청소년의 특성분노,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및 분노표현방식의 관계
-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농촌지역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 어머니 양육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줍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친구관계 비교연구 : 상호적 친구 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및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 유아기 가정환경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 한국 다문화공동체 구현을 위한 문화적응 모형 탐색 : 광주․전남지역 일본, 중국, 조선족, 베트남,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