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고교 음악과 학생들의 연주불안 조사 연구
이용수 7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신
- 간행물 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40~5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예술고교 음악과 학생들의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그들의 연주불안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연주불안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모 예술고교 음악과 1, 2, 3학년 남녀 재학생 196명으로, 대상자들의 전공은 피아노, 현악, 관악, 성악으로 구성되었다. (1) 성별, (2) 학년, (3) 전공, (4) 상태불안, (5) 특성불안, (6) 단기대처전략, (7) 장기대처전략의 총 7가지 변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대상자의 연주불안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연주불안이 유의하게 높았고, 3학년의 연주불안이 1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에 따라서는 성악 전공자의 연주불안이 피아노, 관현악 전공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상태불안 및 특성불안과 연주불안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설명하기 위한 중다회귀분석에서도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연주불안을 가장 많이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단기대처전략에 관한 조사 결과, “긍정적 생각”과 “이완”은 연주불안과 부적 상관이 있는 반면 “약물”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대처전략에 관한 조사 결과, “이완훈련”과 연주불안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던 반면, “친구와 대화”와 연주불안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마음 건강, 마음 읽기, 마음 챙김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 역량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자기효능감 및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