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기역동상담에서 상담 효과 유무에 따른 상담자 개입 수준 내담자 진전 수준의 차이
이용수 13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이희백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6권 제1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단기역동상담의 상담효과를 좀 더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상담자 개입 반응 수준과 이에 따른 즉시적 내담자의 진전 반응 수준을 과정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리검사 결과에서 상담효과가 있었다고 판명된 사례와 효과가 없었다고 판명된 사례 간의 실질적 반응 차이를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에 활용한 15개의 단기역동 상담사례 중 심리검사 결과에서 다른 사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 상의 변화가 많았다고 판단된 세 사례(효과 사례)와 변화가 별로 없었다고 판단된 세 사례(비효과 사례)의 축어록을 작성하고 개입일화로 나눈 후, 상담자 개입 유형인 대인관계양식, 조화와 반응, 기법의 적용 능력 수준과 내담자의 진전/침체 수준을 Rutgers 상담자 과정 척도, Rutgers 내담자 진전/침체 수준 척도로 평가하였다. 효과/비효과 사례 간 상담자 개입 수준에서 모든 상담자 개입 유형과 하위반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담자 진전 반응에서도 명확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후 상담 과정-결과 연구에 실질적인 내담자 진전 반응 수준을 종속측정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목차
1.들어가는 말
2.방법
3.결과
4.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