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와의 소통과 너와의 통합
이용수 19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카운슬러협회
- 저자명
- 김미라
- 간행물 정보
- 『상담과지도』제47호, 25~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는 왜 우리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 우리는 왜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기 어려운 걸까. 나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또한 무엇을 의미하는가.
“나는 누구인가? (Who Am I?)”라는 주제는 오랫동안 우리 삶과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화두가 되어 왔다. 분명한 것은‘다른 사람들은 누구인가? (Who Are
They?)’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스스로에게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진정으로 누구인지 알지 못하고서는 진정으로
‘그들이 누구인지’이해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나와의 소통과 너와의 통합’이라는 주제로 나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들을‘진정으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의 탐색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내가 생각하는 나는 어떤 모습인지, 나는 왜 어떤 행동을 습관적으로 행하고 있는지,
무엇 때문에 나는 내가 원하는 일이지만 하지 못하고, 또 원하지 않지만, 할 수 밖에
없는 선택을 하게 되는지, 나는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왜 나는 이렇게 저렇게 느끼고
있는지. 나는 때로 내 자신이 왜 그렇게 낯설게 느껴지는 지. 도대체, 진정한 나 (real
self), 참자아 (authentic self, or being)’는 어떤 모습인지.
우리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만들어 낸 우리에 대한 왜곡되고 부정적인 신념과
그 발달 과정 그리고 이러한 왜곡되고 부정적인 신념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삶의 룰과 생활 양식, 그리고 생존전략들에 대한 이해는 이상에서
제시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전부는 아니지만, 부분적으로나마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또한 이러한 나 자신에 대한 이해는‘참자아’ 발견의 시작임은 물론, 나와 다른 ‘너’를
이해하고 도우며,‘너와 내가 더불어 함께 하는 건강한 커뮤니티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애들러의 개인심리학 (individual psychology)과 칼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의 인간관에 바탕을 둔 참자아에 대한 정의, 그리고 낮은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지적
접근법이 본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기
II. 이론적인 배경
III. 프로그램의 실제 – Exercises
IV. 요 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 소통의 키워드 : 민감성
- ‘멋진 우리’ 품성계발 프로그램
- 성폭력 상담의 실제
- 아동·청소년의 뇌기능 이해와 NLP심리기법의 활용
- 영성심리 치유법
- 학교폭력 상담에서 있어 핵심적 태도와 기법 (ppt)
- 비행청소년 이해와 대처
- 학교폭력 사안처리 이해와 실제
- NLP 코칭을 기반으로 한 상담기법
- 주의 집중 능력 검사 실시 및 해석
- 나와의 소통과 너와의 통합
- 건강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학교상담 교육과정 세우기
- 학교 폭력의 심리적 이해와 예방책 (ppt)
- 에니어그램을 통한 학생지도
- 더 이상의 희생은 없어야 한다.'
- 교사 및 상담자의 감정 코칭 : 교사(상담자)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학생들을 위한 감정 코칭 기법
- 소아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문제별 대처법
- 공격적 성향의 아동을 위한 생활지도와 부모상담
- 꿈과 사랑을 키우는 행복한 수업 (ppt)
- ADHD의 이해와 교육방법
- MMPI-A, SCT를 활용한 청소년 상담
- 소통과 설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 청소년 자살예방 : 청소년 자살예방의 이해와 위기개입을 중심으로
- 솔리언 또래상담 운영과 실제
- 학교폭력 예방과 청소년 참 성장을 위한 심心테크 (ppt)
- 학교 폭력 예방자로서 진로상담자의 역할 (ppt) : 진로상담의 이해
- 학교폭력 피해·가해학생 특성이해 및 상담요령
- 학급 갈등에 말 걸기
- 父子有親 인성교육 (ppt)
- 청소년의 뇌와 상담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심성수련 프로그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