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using constructed wetland in a coastal reservoir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using constructed wetland in a coastal reservoir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Jungsun Hong Marla C. Maniquiz-Redillas Jong-Hwa Ham Lee-H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18권 제3호, 292~30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iverse and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were established to prevent water pollution in coastal areas such as
constructed wetlands(CW).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CW
constructed along the shoreline of Hwaseong coastal reservoir. The CW is located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consisted of a forebay and a wetland. The CW was monitored twice during rainy days and 10 times during dry days.
The monitoring results indicated that in and out flowrat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OD and TN loads. COD, TN
and TP concentrations in the forebay was lower during dry days than rainy days. However, concentration and mass
removal efficiencies of COD, TN and TP were greater during rainy days. In addition, the volume flowing into the CW
was less compared to the outflow during rainy days indicating that the CW efficiently reduced the runoff volume. The
overall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the CW were at least 50% for TSS, 20 to 35% for TP, and 26 to 94% for TN.
The data gathered may be used to improv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the system in the future.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설계기준 변경에 따른 유출계수 추정 - 공원을 중심으로 -
- 산지습원 무제치늪의 탐방객 특성
- 겨울철 한강 장항습지에 서식하는 매 멸종확률 예측에 대한 연구
- 농촌 지역에서 유입 유량이 소규모 하수처리장 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 상온 조건에서 혐기 소화 상징액을 이용한 아질산화 반응과 운전 인자의 상관성 분석
- 낙동강 중점관리지류·지천의 계절적 오염발생특성 분석
-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using constructed wetland in a coastal reservoir
- Simulation of Various Baffle Types in a Constructed Wetland Sedimentation Tank using CFD
- LP 최적화에 의한 토지피복도 기반 토지계 발생부하 원단위 산정
- 수변지역 소규모 개발사업의 유형별 환경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고속도로 자동차 통행량에 따른 강우유출수 유출 특성 분석
- 기후변화에 따른 소하천에서의 수온 모의연구
- Characteristics, Threats and Management of Philippine Wetlands
- 저에너지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암모니아 공장 폐수 처리
- FDC 및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금호강 유역에서의 오염원추적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SNF 심지층 처분장 내 반응성 가스-지하수-벤토나이트 시스템의 장기적 지화학 반응 모델링
- 독일의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시스템 수리지질학적 규제체계 분석
- Brissopsis pohangensis sp. nov., a New Echinoid Species (Spatangoida) from the Middl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