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ndardized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Concourse and Q-Sample in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김정훈(Junghoon Kim) 이영웅(Youngwoong Lee) 이동규(Dongky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3호,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의 핵심 절차인 의미통합체(concourse)와 Q표본(Q-set) 구축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Q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방법론이지만, 의미통합체와 Q표본 구축 과정이 연구자 개인의 판단에 의존하거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국내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적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의미통합체와 Q표본 구축 과정을 체계적 수집, 구조화 및 분류, 체계적 추출, 사전 검토 및 검증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구체적 절차와 기준을 명시하였다. 이로써 연구의 재현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모호했던 의미통합체 및 Q표본 선정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여 Q방법론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했다. 둘째,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하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절차를 강조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이 보다 엄밀한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다만,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에 초점을 두었으며, 제안된 절차의 실증적 효용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본 절차의 효과성과 한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의 학술적 정합성과 실용적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standardized guidelines for the core procedures of Q methodology, namely the construction of the concourse and the Q-set. While Q methodology is a valuable approach for exploring human subjectivity, the processes of concourse building and Q-set construction have long been criticized for relying heavily on researchers’ personal judgment and lacking specificity. In particular, such methodological discussions have been insufficient in domestic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drawing upon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divides the processes of concourse building and Q-set construction into four stages—systematic collection, structuring and classification, systematic extraction, and preliminary review and verification—and specifies detailed procedures and criteria for each stage.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secure reproducibility and objectivity in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larifies the previously ambiguous criteria for concourse and Q-set selection, thereby enhanc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 methodology research. Second, by minimizing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and emphasizing objective and scientific procedures, it establishes a foundation upon which subsequent researchers can apply more rigorous methodologie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focu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and did not empirically test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proposed procedures. Future research should empirically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se procedure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both the academic coherence an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Q methodolog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의미통합체 및 Q표본 구축의 표준화 방안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 MZ 공무원들의 조용한 사직 모델:과잉 자격 지각과 업무 소외의 역할
- Q방법론에서 연구자 주관성 최소화를 위한 의미통합체(concourse)와 Q표본 구축 절차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행정가치의 실천화에 관한 논의
- Exploring Crowdfunding-Based Regional Regeneration Models as a Public–Private Partnership Strategy: Evidence from Local Government in South Korea
-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 : 역할모호성과 공직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세 부담 의향과 조세 순응 인식의 결정요인 분석
- 정부업무평가의 제도적 정합성에 관한 서설적 연구: 특정평가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중심으로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착한가격업소 정책 개선 방안: 사업주 만족도 실증 분석을 중심으로
- 가치와 이익갈등 구조를 통한 사회갈등 비용
- 철도사업 공공갈등에 대한 PCF 적용 연구 - 수인선 안산구간 철도사업 지하화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 신뢰의 정치화 : 정치 신뢰의 다차원성과 당파적 정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