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paration of Controlled-Release Filaments Utilized by Hot-Melt Extrus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3D Printing Dosage Form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전용구(Yong-Koo Jeon) 김지원(Jiwon Kim) 전한별(Hanbyeol Jeon) 박준범(Jun-Bom Park)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9권 제5호(2025년), 443~45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rug release-controlling cap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laments manufactured using hot-melt extrusion (HME) to prepare establish fundamental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intability of 3D tablets and the controlled release of drugs. API-loaded filaments were prepared using HME. These filaments were used to manufacture cylindrical tablets using a 3D printer. Becaus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aments are directly linked to their 3D printability, a 3-point bend test was conducted on the resulting filaments. Dissolution tests of API-loaded filaments and 3D-printed tablets were conducted in pH 1.2 and 6.8 buffer solutions. According to the 3-point bend test results, filaments made from single polymers were unsuitable for printing, however manufactured using binary polymer combinations based on HPC exhibited improved strength and flexibility compared with those manufactured using single polymers. Dissolu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3D-printed tablets continuously released the drug for 2, 4, or 6 h, depending on the polymer used, its ratio, and infill dens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laments serve as a useful predictive measure for evaluating 3D printability and established a foundational technology for producing 3D-printed tablets with controlled release capabilities by combining polymer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Introduction)
방 법(Method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ement)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약학회지 제69권 제5호(2025년) 목차
- 주요 외국의 의약품 처방 및 조제기간 관련 제도 및 시사점
- 한국과 미국 임상시험 온라인 정보의 임상시험 대상자 중심 사용성 평가: 예비연구
- Ginseng Berry Extract (SIRTBERRYTM) Enhances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in a Rat Model of Andropause
- 지역약국 내 칸막이로 분리된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환자만족도
- 혈우병 환자의 항체 발생에 따른 경제적 부담
- 고온용융압출법을 이용한 조절방출능을 가진 필라멘트와 그 필라멘트를 이용한 3D 프린팅 정제의 제조 및 평가
- [정오(Erratum)] 국가별 가정정맥영양 제도의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을 중심으로
- 제1차 불활화 A형간염백신 국가표준품 확립
- 제네릭 제품명에 국제일반명(INN)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기대효과
-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냉장의약품 유통관리 규제사례 분석
- 국내 의료제품 규제 의사결정에서 환자 선호도 정보 반영을 위한 고려 사항과 과제 -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5호(2025년) 목차
- 주요 외국의 의약품 처방 및 조제기간 관련 제도 및 시사점
- 한국과 미국 임상시험 온라인 정보의 임상시험 대상자 중심 사용성 평가: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