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AI Comment Detection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s: The 21st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신형(Sin Hyeong Kim) 유예원(Ye Won Yu) 박지은(Ji Eun Park) 노상희(Sang Hui Noh) 손남례(Nam Rye Son)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10호, 149~16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정치 뉴스 댓글 공간에서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댓글이 개입하는 현상을 탐지하고 그 사회적 함의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수집된 네이버 뉴스 댓글 데이터를 활용, Google Gemini 2.5 Flash와 OpenAI GPT-4를 이용해 생성한 AI 댓글과 인간 댓글을 구분하는 분류 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 학습에는 한국어에 특화된 사전학습 언어모델인 KOELECTRA와 KCELECTRA를 활용했으며, 특히 KCELECTRA 모델은 99%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기록했다. 이 모델을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 댓글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전체 댓글 중 약 1.46%~3.80%가 AI 댓글로 분류되었다. 이는 실제 선거 여론 공간에 AI 기반의 인위적 개입이 존재했음을 시사하며, 탐지된 수치는 최소치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선이라는 특정 정치적 맥락 속 LLM 기반의 AI 개입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공정한 여론 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탐지 기술의 고도화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intervention of AI-generated comments in online political news discussions and examines their implications for democratic discourse. Using comment data collected from the 20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2022), we built a classification model to distinguish between human-written and AI-generated comments. AI-generated comments were produced using Google Gemini 2.5 Flash and OpenAI GPT-4, and Korean-specific pretrained language models such as KoELECTRA and KcELECTRA were employed for train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KcELECTRA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over 99%. Applying the trained model to comment data from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2025) revealed that approximately 1.46% to 3.80% of the comments were classified as AI-generated.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rtificial intervention using generative AI was present in the electoral discourse, though the detected rate likely represents a minimum estimate. As one of the first empirical studies to analyze AI intervention in the context of a national election, this work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dvancing detection techniques and continuous monitoring to safeguard fair and transparent public opinion form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데이터셋 구축
Ⅳ. 실험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10호 목차
- 2단계 군집방법을 이용한 최적 전기차 충전소 배치 연구
- 임계값 설정을 통한 근치적 위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
- A!rrange: AI 기반 스마트 북마크 관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 VGC 배틀 로그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핵심 전략 요인 도출
- 겹친 넙치 객체 탐지의 성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이미지 증강 기법
- AR/VR 기기 속성가치 분석
- YOLOv10 기반 실내 환경에서의 화재 및 연기 실시간 탐지 성능 평가
-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SHAP 기반 설명가능한 AI 접근
- 지연종속변수 방법론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 A Stacked CNN Approach for Accurate Classification of AD Severity from T1-Weighted MRI Slices
- eBPF 기반 도커 컨테이너 이상행위 탐지 도구 구현에 관한 연구
- 금융 감성 분석을 위한 Mamba 기반 어댑터 구조
- 거대 언어 모델 기반 멀티에이전트 토론 시스템의 상호작용 아키텍처별 성능 비교
- 넙치 양식장 수질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폐사량 예측 연구
- AI 반도체와 주요 응용 분야에 관한 연구
-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AI 댓글 탐지: 제21대 한국 대통령 선거 사례 연구
- Complexsystem의 분석기법을 활용한 병동부 복도공간의 피난형태에 관한 연구
- 20·30대 베트남 소비자의 뷰티숍 선택속성 요인과 브랜드 태도 및 관계지속성 간의 관계
- 스마트안전관리 시스템구축을 위한 공동주택 안전관리업무 동향분석
- 온라인 학습 플랫폼 Allo를 활용한 서비스디자인 기반 조현병 환자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