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Attribute Values of AR/VR Devices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제윤(Je Yun Lee) 이춘수(Choon Soo Lee)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10호, 71~7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시장에서의 AR/VR 기기 거래 현황을 조사하고, 거래되고 있는 기기의 속성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나와(danawa)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거래현황을 조사하고 헤도닉 가격 분석 모형을 통해 속성가치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장메모리는 실감 콘텐츠의 연속성, 몰입감, 상호운영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해 AR/VR 기기 개발에 있어 중요한 속성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량은 기기 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고가의 제품일수록 성능 향상과 내구성 강화를 위한 하드웨어 탑재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셋째, AR/VR 기기 시장 활성화를 위해 독립형 VR 기기의 보급 확대와 높은 호환성을 갖춘 AR/VR 기기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RAM은 기기 가치에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스피커, 마이크, 블루투스 등의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온라인 거래 AR/VR 기기 시장에서는 고성능 RAM과 부가 기능 탑재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action status of AR/VR devices in the online market and analyzed the attribute value of these devices. To this end, the online transaction statu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Danawa website and the attribute value was analyzed through a hedonic price analysis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ws. First, embedded memory has been analyzed as an important attribute in the development of AR/VR devices as it plays a role in increasing the seamlessness, immersive, and interoperability of realistic content. Second, weight had a positive impact on device value,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more expensive products tend to have more hardware installed to improve performance and durability. Third, to stimulate the AR/VR device marke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standalone VR devices and develop AR/VR devices with high compatibility. Finally, RAM had a negative effect on device value, while features such as speakers, microphones, and bluetooth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online AR/VR device market, high-performance RAM and additional features may be relatively un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AR/VR 기기 온라인 거래 현황 및 속성가치 분석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10호 목차
- 2단계 군집방법을 이용한 최적 전기차 충전소 배치 연구
- 임계값 설정을 통한 근치적 위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
- A!rrange: AI 기반 스마트 북마크 관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 VGC 배틀 로그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핵심 전략 요인 도출
- 겹친 넙치 객체 탐지의 성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이미지 증강 기법
- AR/VR 기기 속성가치 분석
- YOLOv10 기반 실내 환경에서의 화재 및 연기 실시간 탐지 성능 평가
-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SHAP 기반 설명가능한 AI 접근
- 지연종속변수 방법론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 A Stacked CNN Approach for Accurate Classification of AD Severity from T1-Weighted MRI Slices
- eBPF 기반 도커 컨테이너 이상행위 탐지 도구 구현에 관한 연구
- 금융 감성 분석을 위한 Mamba 기반 어댑터 구조
- 거대 언어 모델 기반 멀티에이전트 토론 시스템의 상호작용 아키텍처별 성능 비교
- 넙치 양식장 수질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폐사량 예측 연구
- AI 반도체와 주요 응용 분야에 관한 연구
-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AI 댓글 탐지: 제21대 한국 대통령 선거 사례 연구
- Complexsystem의 분석기법을 활용한 병동부 복도공간의 피난형태에 관한 연구
- 20·30대 베트남 소비자의 뷰티숍 선택속성 요인과 브랜드 태도 및 관계지속성 간의 관계
- 스마트안전관리 시스템구축을 위한 공동주택 안전관리업무 동향분석
- 온라인 학습 플랫폼 Allo를 활용한 서비스디자인 기반 조현병 환자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