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Diisobutyl Adipate (DiBA) and Homosalate (HMS) on the Thyroid Endocrine System of Zebrafish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이윤지(Yunji Lee) 지경희(Kyunghee Ji)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5호, 315~3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Diisobutyl adipate (DiBA) is used as an emollient in personal care products, while homosalate (HMS) is a widely applied UV-B filter. Although both chemicals are frequently detected in the environment, studies on their endocrine-disrupting effects, particularly on the thyroid system, remain scarce.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al toxicity and hypothalamic-pituitary-thyroid (HPT) axis disruption caused by DiBA and HMS, both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using zebrafish embryos and larvae.
Methods: Zebrafish embryos were exposed for 96 h to control, solvent control, DiBA (0.002~20 μM), HMS (0.0002~2 μM), and their mixtures. Embryo coagulation, hatching, malformations, and survival were monitored every 24 h. At 96 h, body length, body weight, triiodothyronine (T3), thyroxine (T4),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and HPT-related gene exp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Significant body length reduction was observed in larvae exposed to DiBA 20 μM, HMS≥0.2 μM, and the mixture groups of DiBA 2 μM+HMS 2 μM and DiBA 20 μM+HMS 2 μM. DiBA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T3, TSH, and deiodinase 2 expression. In contrast, HMS exposure elevated T3 and T4 but decreased TSH as well as tshβ and tshr expression, suggesting a different mode of thyroid disruption. Notably, co-exposure to DiBA and HMS induced more pronounced increases in T3 and TSH compared with single exposures.
Conclusions: DiBA and HMS, both commonly present in sunscreens, disrupt the thyroid endocrine system and impair growth in zebrafish larvae. Combined exposure resulted in stronger endocrine alterations than did individual treatment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ixture effects in thyroid- related risk assessment.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clarify their interactive mechanisms and ecological consequences.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감사의 글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ditorial] AI 기반 환경보건 예측 모델과 건강 격차 완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1권 제5호 목차
-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한 간접흡연 억제 정책의 효과 분석
- 어린이활동공간의 실내 먼지 종류별 납 농도와 노출수준
- 다이아이소뷰틸 아디페이트(DiBA)와 호모살레이트(HMS)가 제브라피쉬의 갑상선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생활하수처리장 유출수에서 분리한 항생제 내성 Enterococcus faecium의 전장유전체 분석 기반 특성 연구
- 기후변화와 건강 연구 고찰: 기후변화와 환경보건정책 제언
- 국내 저가형 생활용품 매장에서 유통되는 아이메이크업 제품의 과불화화합물(PFAS) 성분 분석 및 안구 노출 평가
-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 지역 초미세먼지 및 구성화학종 분포 특성 - 메타분석 및 실측 결과 중심으로
- 합성 머스크(AHTN, MK)가 제브라피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담수환경에서의 생태위해성평가
- 대학교 캠퍼스 내 소음지도 제작 및 소음공해 평가: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