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f Climate Change and Health Research: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Health Policy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지영(Jee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5호, 255~26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The intersection of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factors, and human health is garnering growing attention in research and policy.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on climate change and health is critical to inform future research agendas and environmental health policymaking.
Objectives: This study synthesizes recent research on climate change and health, with the aim of deriving implications for advanc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y.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studies published from 2014 to 2024 was conducted from using Google Scholar with keywords including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health. The review incorporated articles, government reports,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s to capture both scientific evidence and policy guidance. Results: This study reviewed recent research on climate change and health, categorizing findings by disease types – including infectious diseases, respiratory system/allergic disease, heat-related illness, kidney disease, mental health, an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VD) – to examin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uman health.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climate change-health research. Drawing on both domestic studie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s, this study proposed research topics on climate change-environment-health interface.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environmental health policy implications. These encompass the advancement of climate-health monitoring and evaluation, the provision of targeted support for vulnerable populations, research-informed policy formulation, cross-sectoral collaboration, and research initiatives pertaining to Environmental Health Security.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ditorial] AI 기반 환경보건 예측 모델과 건강 격차 완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1권 제5호 목차
-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한 간접흡연 억제 정책의 효과 분석
- 어린이활동공간의 실내 먼지 종류별 납 농도와 노출수준
- 다이아이소뷰틸 아디페이트(DiBA)와 호모살레이트(HMS)가 제브라피쉬의 갑상선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생활하수처리장 유출수에서 분리한 항생제 내성 Enterococcus faecium의 전장유전체 분석 기반 특성 연구
- 기후변화와 건강 연구 고찰: 기후변화와 환경보건정책 제언
- 국내 저가형 생활용품 매장에서 유통되는 아이메이크업 제품의 과불화화합물(PFAS) 성분 분석 및 안구 노출 평가
-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 지역 초미세먼지 및 구성화학종 분포 특성 - 메타분석 및 실측 결과 중심으로
- 합성 머스크(AHTN, MK)가 제브라피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담수환경에서의 생태위해성평가
- 대학교 캠퍼스 내 소음지도 제작 및 소음공해 평가: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