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ynthetic Musk (AHTN, MK) on Zebrafish Development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Freshwater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승현(Seunghyun Kim) 지경희(Kyunghee Ji)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5호, 295~30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Synthetic musks such as tonalide (AHTN) and musk ketone (MK) are used as fragrances in various household chemical produ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ecological risk of these substances and their endocrine-disrupting effects related to the growth hormone (GH) system.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endpoints related to GH in zebrafish larvae exposed to AHTN and MK for 96 h. In addition, the ecological risk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 with the measur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MEC).
Methods: Zebrafish eggs were exposed to control, solvent control, AHTN (0.03~300 μg/L), and MK (0.03~300 μg/L) for 96 h. Larval development, GH, and changes in gene transcription were investigated. Ecotoxicity data for AHTN and MK in freshwater environments were collected to derive PNEC. The hazard quotient (HQ)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MEC for the Korean aquatic environment by the PNEC.
Results: AHTN exposure significantly reduced larval length, GH concentration, and transcription of gh1 and ghra , suggesting disruption of GH synthesis and receptor-mediated signaling. MK did not induce significant changes in these endpoints. Ecological risk assessment showed HQ values <1 for both compounds in surface waters, indicating low risk under current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Conclusions: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AHTN can interfere with the GH endocrine system and impair development in zebrafish larvae, although current surface water levels of AHTN and MK in South Korea are unlikely to pose significant ecological risks. Continuous monitoring and mechanistic studies are warranted to further clarify their long-term effects.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감사의 글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ditorial] AI 기반 환경보건 예측 모델과 건강 격차 완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1권 제5호 목차
-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한 간접흡연 억제 정책의 효과 분석
- 어린이활동공간의 실내 먼지 종류별 납 농도와 노출수준
- 다이아이소뷰틸 아디페이트(DiBA)와 호모살레이트(HMS)가 제브라피쉬의 갑상선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생활하수처리장 유출수에서 분리한 항생제 내성 Enterococcus faecium의 전장유전체 분석 기반 특성 연구
- 기후변화와 건강 연구 고찰: 기후변화와 환경보건정책 제언
- 국내 저가형 생활용품 매장에서 유통되는 아이메이크업 제품의 과불화화합물(PFAS) 성분 분석 및 안구 노출 평가
-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 지역 초미세먼지 및 구성화학종 분포 특성 - 메타분석 및 실측 결과 중심으로
- 합성 머스크(AHTN, MK)가 제브라피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담수환경에서의 생태위해성평가
- 대학교 캠퍼스 내 소음지도 제작 및 소음공해 평가: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