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anctuary Movement vs. the US: Emergence, Diffusion, and Radicalization of the Sanctuary Movement in 1980s America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저자명
- 김연진(Youn-Jin Kim)
- 간행물 정보
-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제76집, 275~31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80년대 중앙아메리카의 내전과 정치적 억압을 피해 미국으로의 탈출을 선택한 중앙아메리카 난민들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시작된 생추어리 운동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며, 특히 그 등장 배경과 성격, 그리고 역사적 의미를 논한다. 생추어리 운동은 초기 종교·인도주의적 움직임으로 시작되기는 했으나, 중앙아메리카 난민들을 공식적 난민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이들을 체포 및 추방할 것을 강제한 미국 이민법에 불복하며 직접적 공개적으로 미국 정부에 도전하였다. 그리고 이 운동은 연방정부에 맞서 불평등한 난민정책의 시정을 요구하고 중앙아메리카 난민정책과 연관된 외교정책의 변화 또한 주장하여, 결국 인도주의적 난민지원과 보호, 난민정책의 시정, 그리고 난민정책을 왜곡시킨 외교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려 한 다면적이며 다층적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므로 이 운동은 종교적, 인도주의적, 그리고 정치적 성격을 함께 지닌 포괄적 운동이자, 더 나아가 오늘날 ‘친이민자 운동’ 및 ‘이민자 권리 운동’의 선구로 이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ffer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Sanctuary Movement, which emerged in the 1980s to protect and support Central American refugees who fled to the United States to escape civil wars and political repression. It focuses in particular on the movement’s origin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lthough the sanctuary movement began as a religious and humanitarian initiative, it openly and directly challenged the U.S. government by defying immigration laws that refused to recognize Central Americans as legitimate refugees and instead mandated their arrest and deportation. The movement demanded redress of the inequitable refugee policies enforc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further called for changes in U.S. foreign policy linked to Central American refugee issues. Ultimately, it developed into a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movement that sought not only humanitarian protection and support for refugees but also reform of refugee policy and a reconfiguration of the foreign policies that had distorted it. In this sense, the sanctuary movement represented a comprehensive endeavor that combined religious, humanitarian, and political dimensions, and it may also be understood as a precursor to today’s ‘pro-immigrant’ and ‘immigrant rights’ mo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미국의 중앙아메리카 난민정책과 생추어리 운동의 등장
Ⅲ. 생추어리 운동의 시작과 확산: 투산(Tuscon), 그리고 전국적 생추어리 네트워크의 성립
Ⅳ. 생추어리 운동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과 운동의 급진화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예제와 식민지 기념물에 대한 기억 논쟁: 콜베르와 갈리에니 동상 사례 연구
- 제2차 국공내전기 중국공산당의 승리 요인 분석
- 혜원 신윤복의 산수화 연구 Ⅱ - 단원 김홍도와의 관계와 영향을 중심으로
- 1173년 플랜태저넷 반란과 알리에노르 다키텐느의 정치 전략
- 로마 제국과 한 제국의 관계에서 실크로드의 역할 - 경제·문화적 교량으로서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 조선국권회복단의 조직과 성격에 관한 검토
- ‘남겨진 위그노들’: 낭트칙령 폐지 이후 프랑스에 남은 위그노들의 생존과 경험, 1685-1700
- 미라보의 교육개혁안: 프랑스혁명 이후 악화된 교육여건과 최초의 개혁시도
- 18세기 유럽의 정치적 통합 담론 - 생피에르, 루소, 칸트의 영구평화 사상
- 벤야민의 사유 - 역사관과 근대성을 중심으로
- 생추어리(Sanctuary) 운동 대 미국: 1980년대 미국 생추어리 운동의 등장과 확산, 그리고 급진화
- 포스트모던 역사서술과 아카이브 전환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