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terminants of Load Capacity Factor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he Role of Green Finance, Energy Transition, Natural Resource Depletion, and Forested A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in Young Park Dong-Hoon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5, 129~1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기후위기라는 전 세계적 위기 속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하용량계수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자연의 공급과 수요 측면을 모두 반영하는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남미 10개국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결정 요인을 분석했다. 결정 요인으로 녹색금융과 에너지 전환 변수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천연자원 고갈 및 산림 면적의 역할 또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에너지 전환과 산림 면적의 증가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녹색금융과 천연자원 고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남미 국가들이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촉진하는 제도적ㆍ재정적 지원 방안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산림 보호 및 관리 강화를 위해, REDD+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as emerged as a crucial research topic amid the global crisis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assesse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using the Load Capacity Factor (LCF), an indicator that captures both the supply and demand aspects of nature. Utilizing annual panel data from 2000 to 2021 for ten Latin American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analysis focuses on green finance and energy transition while also considering the roles of natural resource depletion and forested a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energy transition and forested area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ereas green finance and natural resource depletion do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tin American countries should prioritiz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s to accelerate the deployment of renewable energy as a key strategy for enhanc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urthermor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DD+ is essential to strengthen fores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수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CTV 영상 기반 모니터링 및 AI 실시간 침수 예측 모델링을 통한 건설현장 침수 위험 관리
- 사업장 비상대응체계의 일원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사회변화에 따른 통합재난관리체계 평가지표 재구성을 위한 연구
- 근거이론 코딩분석을 활용한 홍수재난과 강풍재난 피해발생 인과분석
- 지방·농촌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마을공동체 재구성과 돌봄 체계 구축 방안 고찰 - 한국과 일본의 마을공동체 노인돌봄 사례를 중심으로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및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가계 소비와 유동 인구 특성에 관한 연구 - 2010년과 2018년 비교 분석
- 탈냉전기 미국의 대북 핵협상 유형
- 중남미 국가의 부하용량계수 결정 요인: 녹색금융, 에너지 전환, 천연자원 고갈, 산림 면적의 역할
- 한국형 원헬스 실현을 위한 전략과 거버넌스 모색 - 인수공통감염병 등 위기 대응을 위한 원헬스 프레임워크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기혼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그릿,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Experiences of Pediatric Nurses in Managing Crises during the National Medical Workforce Dispute
- 행정심판의 간접강제 제도에 대한 검토 -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2024년 간접강제 사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CCTV 영상 기반 모니터링 및 AI 실시간 침수 예측 모델링을 통한 건설현장 침수 위험 관리
- 사업장 비상대응체계의 일원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사회변화에 따른 통합재난관리체계 평가지표 재구성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