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1세션] 전통시대 바다를 통한 한 베 교류공간과 K-콘텐츠 확장 모색 - 《조완벽전》·《최적전》·《표류기》속 연계도시 콘텐츠 교류 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Exploring the Maritime Spaces of Korea-Vietnam Exchange in the Premodern Era and the Potential Expansion of K-Content : Focusing on Content Exchange Strategies for Cities Linked in
, , and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신춘호(Chun-ho Shi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5년 한-베 해외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27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history of Korea-Vietnam exchange has spanned a long period, with two notable scenes from their premodern interactions serving as motifs for today’s bilateral relationship. The first is cultural exchange via the sea, and the second is human and academic exchange within the East Asian diplomatic order.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rocess of bilateral exchange through the sea, such as maritime drift and maritime trade. Specifically, it takes as its main texts (1607), which recounts the story of Joseon scholar Jowanbyeok, a war captive taken to Japan during the Imjin War who later participated in Vietnamese trade with a Japanese merchant group; (1621), which similarly features a protagonist involved in Vietnamese trade under comparable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story of Ok-yeong; and (1687), which details the experiences of Kim Dae-hwang, who drifted to Vietnam and returned to Jose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utilizes the literary works , , and —which directly reveal scenes of Korea-Vietnam exchange—to explore cooperative content strategies for cities (spaces) linked in these narratives. While these works are rich in content, including encounters with the unfamiliar and experiences of other cultures, their protagonists’ stories have also served as material for various content productions. Although they have generally been introduced through historical documentaries,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widely consumed by the public through theater and musicals.
Given that Vietnamese cities such as Hanoi, Xingyuan (Hưng Yên), Hoi An, and Hue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ent of these texts, there is considerable potential for K-content produced in Korea to expand into V-content, as well as for mutual cooperation in tourism and cultural exchange.
Since all three works are representative texts of “exchange through the sea,” they illumin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oth countries deeply related to premodern East Asian maritime culture. Above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identify models for Korea-Vietnam content cooperation today by understanding the pattern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nations in the premodern era, which often involved recognizing other cultures through “irresistible” or “exceptional experience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전통시대 한-베트남 인식과 인문유대
3. 해상교역항 호이안과 ‘기이한 만남’
4. 한·베 역사문화 교류 공간으로서 호이안(會安) 다시보기
5. 정리하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5년 한-베 해외공동학술대회 목차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5년 한-베 해외공동학술대회 프로그램
- [1-5세션] 다큐멘터리 <기억의 전쟁>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 - 기억의 경합과 공존의 의미
- [1-2세션] 한-베 신앙 문화의 현대적 재현과 콘텐츠 활용 - 조왕 신앙을 중심으로
- [1-4세션] 음식 콘텐츠에 반영된 한-베 문화 정체성 비교 및 교육적 활용 연구 - 영화 『리틀 포레스트』와 『그린 파파야의 향기』를 중심으로
- [1-1세션] 전통시대 바다를 통한 한 베 교류공간과 K-콘텐츠 확장 모색 - 《조완벽전》·《최적전》·《표류기》속 연계도시 콘텐츠 교류 방안을 중심으로
- [1-3세션] 문화콘텐츠 기반 한-베 관광 협력이 선순환 모델 - 팬덤 투어리즘과 장소 브랜딩의 상호작용
- [기조강연1:] 유교문화권의 효, 효행 비교 연구 - 베트남과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 [2-1세션] 베트남 모바일 게임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한국의 <플레이 투게더>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 [기조강연2] 베트남에서의 K-콘텐츠의 과거, 현재, 미래
- [2-3세션] 베트남, K-웹툰의 인기 - 영화 <이태원 클라스>, <스위트홈>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수용과 의미 분석
- [2-2세션] 베트남 남부 지역 대학생의 한국어·한국학 전공 선택에 미치는 한국 콘텐츠의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와 드라마 중심으로
- [2-4세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신장을 위한 베트남과 한국의 식생활 예절 비교 연구
- [2-5세션] K-콘텐츠에서 V-콘텐츠로 - 리메이크 포스터에 재현된 문화 감수성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역사와 융합 제28호 목차
- 현행 간도 교육의 문제와 정상화를 향한 시론적 연구 - 예맥한인(濊貊韓人)의 생활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한국사 교과서’의 서사 문제
- 관상학에서 심상의 귀납적 접근 시론(試論) - 바람직한 심상 관리를 위한 성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