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파친코>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계급 상승’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ransnational Class Mobility’ in Pachinko
발행기관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저자명
김남석(Namseok Kim)
간행물 정보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Vol.15 No.2, 138~178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pecific aspects and inherent meanings of transnational class ascension through the migration narratives of characters in the drama Pachinko. The major characters in the work experience cross-border movement and class transition, which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elite type,” “high educational mobility type,” “transnational entrepreneur type,” “reproductive mobility type,” and “grounded mobility type.” This study examines how each character’s choices and experiences are formed and frustrated within structural conditions. Koh Hansu exemplifies the elite type, acquiring capital and power while traversi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aek Isak is depicted as a high educational mobility type who seeks ascension through Christian missions and education but whose life is interrupted by state violence. Mozasu is portrayed as a transnational entrepreneur type who achieves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the pachinko industry. Noah represents the reproductive mobility type, attempting identification through education but ultimately ending his life due to the limits of ethnic identity. Solomon follows the path of a global elite but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grounded mobility type as he faces barriers within Japanese society. This study especially highlights that the mobility and ascension of these characters are not the results of individual choices alone but are formed within complex structures of imperial legacy, ethnic and class boundaries, and overlapping legal and social inequaliti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트랜스내셔널 계급 상승의 정의와 유형
3. 이민자 유형과 트랜스내셔널 계급 상승
4. 결론 : <파친코>에 재현된 경계·계급·정체성의 트랜스내셔널 서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석(Namseok Kim). (2025).<파친코>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계급 상승’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15 (2), 138-178

MLA

김남석(Namseok Kim). "<파친코>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계급 상승’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15.2(2025): 138-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