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ym-polis as a Condition of Co-habit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Nonhuman: Planetary Politics and Infrastructures beyond the Human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 저자명
- 김은주(Eun-Joo Kim)
- 간행물 정보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Vol.15 No.2, 74~101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rethinks the human condition in the Anthropocene by moving beyond the modern concept of the globe toward a planetary conditiongrounded in co-habit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eginning with Hannah Arendt’s reflections on action and the polis, it proceeds from the limits of her accountto argue that political life emerges not from anthropocentrism but from shared conditions of dwelling as a commons, co-generated with nonhuman agents. To capture the entanglement of contemporary digital technologie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the paper introduces the notion of the digital polis, and further expands it into the concept of the sym-polis—a political space where humans, technologies, data, microbes, and ecosystems interact within overlapping infrastructures. These infrastructures are not reducible to human-centered technical systems but constitute multi-layered assemblagesthat traverse the divide between nature and culture, living and non-living. In addressing planetary challenges such as climate disaster, ecological crisis, and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generative AI, the sym-polis foregrounds the construction of nonhuman infrastructures and the practice of multispecies co-habitation. Ultimately, the paper calls for a departure from linear narratives of progress toward a renewed vision of the commons, grounded in ecological and ethical reconfigurations of infrastructure and shared survival.
영문 초록
목차
1. 인간의 조건으로서 지구와 행성적인 것의 출현
2. 행위와 인간의 조건으로서 폴리스
3. 행성적 시간성 그리고 비인간과 인간의 공거
4. 동시대의 거대 도시와 심-폴리스
5. 나가며: 심-폴리스의 정치 그리고 비인간 인프라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troduction: Venturing into Planetary Infrastructural Thin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Vol.15 No.2 Contents
-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 인프라 인문학과 인프라 텍스트 연구 시론
- 행성(planet)’의 발견과 행성적 위기: 행성적 사유의 몇 가지 방향
- 비인간과 인간의 공거 조건으로서 심-폴리스: 행성과 비인간 인프라
- <파친코>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계급 상승’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Selective Belonging: The Making of the Neoliberal Migrant in Germany
- 친구·친지 방문(VFR) 호스트와 방문자의 한국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Introduction: Venturing into Planetary Infrastructural Thin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Vol.15 No.2 Contents
-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