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가복음 7:24-30에서 나타나는 예수와 수로보니게 여인의 담화 : 인지언어학적 접근

이용수  0

영문명
The Discourse between the Jesus and the Syrophoenician Woman in Mark 7.24-30 : A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발행기관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저자명
정주환(Ju Hwan Jeong)
간행물 정보
『신약연구』제24권 제3호, 287~32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마가복음 7:24-30의 예수와 수로보니게 여인의담화를 인지언어학의 도구들로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인간은 텍스트로 사고하고 텍스트로 소통한다. 텍스트 수용자는 그텍스트를 통해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용한다. 또한, 정보성이 높은 텍스트는 초점화되어 텍스트 수용자의 마음속 틀 정보를 활성화한다. 그 정보는 텍스트 수용자의 언어 공동체의 사회, 문화, 종교, 관습과관련이 있다. 이 원형적 지식 틀은 이상적이거나 고정관념적일 수있다. 담화 참여자들은 때때로 일반적이거나 불변의 진리와 같은 명제들을 주고받으며 대화를 이어나간다. 이 경우에 화자는 자신의 언어 공동체 안에서 자동화된 텍스트들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텍스트들은 화자의 언어 공동체의 고정관념 혹은 이상적 틀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인지언어학의 도구들은 이러한 틀을 분석하고 정보요소들의 사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신약성경 텍스트 해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근접 텍스트(co-text)들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이 틀 정보들을 종합하여 마가복음 7:24-30에암시된 예수의 소명과 그의 신적 정체성까지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Mark 7:24-30 using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es. Humans engage in both think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texts, with text recipients processing meaning in a sequential manner as they interact with these texts. Additionally, highly informative texts are focused in a way that activates the mental frame structures of the text recipients. This information connects to the social, cultural, religious, and conventional elements within the speech community of the text recipients. These prototypical knowledge frames can be either idealized or stereotypical. Discourse participants occasionally share propositions that appear to represent universal or unchanging truths, thus maintaining the flow of communication. In such instances, speakers tend to employ automated texts that are familiar within their speech community. These texts activate the stereotypical or idealized frames characteristic of the speaker's speech community. Consequently, cognitive linguistic tools are useful for analyzing these frames and mapping how informational elements are conceptualized. This approach can also be applied to New Testament textual interpretation. For this type of analysis, examining co-texts is crucial. Through the synthesis of this frame-based information, we can investigate the calling and divine identity of Jesus as implied in Mark 7:24-30.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마가복음 7:24-30 담화의 초점화 정도와 현저성
3. 백과사전적 의미와 관습성
4. 현저성이 두드러진 발화들: 정보를 활성화하고 환기하는 텍스트들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환(Ju Hwan Jeong). (2025).마가복음 7:24-30에서 나타나는 예수와 수로보니게 여인의 담화 : 인지언어학적 접근. 신약연구, 24 (3), 287-328

MLA

정주환(Ju Hwan Jeong). "마가복음 7:24-30에서 나타나는 예수와 수로보니게 여인의 담화 : 인지언어학적 접근." 신약연구, 24.3(2025): 287-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