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시대의 출판 분야 저작권법과 공정이용 이해 상충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아카이브 사례분석 및 데이터 사용에 대한 공정이용 법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flict of Understanding Between Copyright Law and Fair Use in the Publishing Industr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Digital Archives and Fair Use Doctrine for Data Usage
- 발행기관
- 한국출판학회
- 저자명
- 한주리(Julie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120호, 107~1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저작권법과 공정이용의 이해 상충에 관해 출판 분야의 사례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출판 분야 디지털 아카이브 사례 분석을 통해, 공정이용과 인공지능 시대의 저작권을 위한 법적 제도적 대비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성형 AI의 학습데이터 분석에 활용가능한 국내의 한국고전종합DB구축사업 사례, 말뭉치 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아카이브 사례분석을 한 결과, 공공재로서 디지털 아카이브가 AI 시대에 중요한 학습 데이터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공공이용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중에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생성형 인공지능에서 공정이용 법리의 유효성을 파악하고, 미디어 기업- 테크 기업 간 콘텐츠 라이선스 신규 체결과 AI 관련 보상체계 마련 및 저작권 재검토 필요성이 대두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인공지능과 관련한 법적 제도적으로 대비해야 할 부분에 대해 민간과 정부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모색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연구 한계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conflict between copyright law and fair use in the AI era, focusing on cases within the publishing industry. Through an analysis of digital archive cases in the publishing field, we sought to examin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eparedness required for fair use and copyrigh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end, a case analysis of digital archive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omprehensive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Corpus Project, both of which provide training data for generative AI. The results revealed that digital archives, as public goods, can serve as crucial training data resources in the AI era. However, it was also identified that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may arise within digital archives intended for public use. Second, the study assessed the validity of fair use principles in generative AI and proposed the need for new content licensing agreements between media and tech companies, the establishment of AI-related compensation systems, and a reexamination of copyright laws. Finally, we explored what efforts should be made at both the private and government levels regarding future legal and institutional preparations for AI. This study provided foundational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through diverse case analyses of digital archives and presented it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디지털 미디어와 독서의 융합 양상 연구
- 작가 주도형 출판 활동의 유형 분석 : 일제강점기(1910~1945) 문학 도서를 중심으로
- 숏폼 시대의 역행 : 프랑스 무크 저널리즘의 부상과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