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Parental Media Literacy on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Media :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arental Media Mediation and Media Emotion 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유정(Yu-Jeong Choi) 이주연(Joo-Ye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3, 443~4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ividual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media intervention and media emotion regulation in the effect of parents’ media literacy on young children’ smart media dependence. Methods: A total of 235 parents of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from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v.4.2.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arents’ media literacy had an effect on media mediation and media emotion regulation, and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smart-media dependence through media emotion regulation.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intervention and media emotion regulation together, only media emotion regulation showed a unique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parental media literacy influences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media, and that this influence occurs through parent’s media emotion regulation rather than media medi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 신중년 여성의 커뮤니티 활동 경험 분석 -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적용
-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갈등의 유형을 통해 아동 불안에 미치는 영향부부갈등의 매개효과
- 연령집단별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 Alderfer의 ERG이론을 적용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주의집중 문제와 학업무기력, 사회적 위축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
-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에 대한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의 영향 - 부모 미디어 중재 및 미디어 활용 정서조절의 다중매개효과
참고문헌
- 한국청소년 연구
- 아동학회지
- 육아지원연구
- 유아교육연구
- 아동학회지
- 한국방송학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 인성교육연구
- 미디어, 젠더 & 문화
-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Human Behavior and Emerging Technologies
-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 Media literacy: A reader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y
- On the Horizon
-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effects
-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 New Media & Society
-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