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rdiac Cycle-Dependent Variations in Mitral Annulus Size in Mitral Regurgitation: An ECG-gated CT 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김현영(Hyeon-Young Kim) 송민철(Min-Cheol Song) 백지혜(Ji-Hye Baek) 정용환(Yong-Hwan Chung) 대창민(Chang-Min Dae) 지재선(Jae-Sun Ji)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제27권 제2호, 73~8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승모판 폐쇄부전증은 심장의 혈액 역류로 인해 심부전과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의 경우 승모판 치환술이 필요하다. 개흉 수술인 승모판 치환술의 경우 합병증과 긴 회복기간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한 비침습적 시술인 경피적 승모판 치환술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경피적 승모판 치환술에 사용하는 인공판막은 승모판륜의 최대 크기를 기준으로 선택하며, 시술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승모판륜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 동기화 CT를기반으로 심장주기에 따른 승모판륜의 변화를 분석하고, 경피적 승모판 치환술에 사용되는 인공판막 선택을 위한 최적의 심장주기를 제시한다. 2023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진단받고 심전도 동기화 CT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정상 리듬군 30명과 부정맥군 30명으로, 심장주기별 승모판륜의 둘레, 면적, 앞뒤 거리, 간섭점 거리를 측정했다. 분석 결과, 승모판륜 크기는 정상 리듬군과 부정맥군 모두 수축기인 40% 구간에서 최댓값을, 이완기인 0% 구간에서 최솟값을 나타냈다. 모든 측정 지표에서 심장주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확인했으며,(p<0.05) 측정자간 신뢰도 분석에서 높은 일치도(ICC >0.8)를 나타냈다. 따라서 승모판륜의 크기가 최대로 측정되는 심장 주기의 40% 구간에서승모판륜의 크기를 측정한다면, 경피적 승모판 치환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Mitral regurgitation, caused by backward blood flow in the heart, can lead to heart failure and arrhythmias. In severe cases, mitral valve replacement is necessary. However, mitral valve replacement carries risks of complications and prolonged recovery periods, highlighting the increasing use of 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lacement as an alternative. The prosthetic valve used in 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lacement is selected based on the maximum size of the mitral annulus, and accurate measurement of the annulus size is crucial to minimize procedural complic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 changes of the mitral annulus throughout the cardiac cycle using electrocardiocram gated computed tomography and proposes the optimal cardiac phase for selecting prosthetic valves in 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lacement.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patients diagnosed with mitral regurgitation who underwent electrocardiocram gated computed tomography between January 2023 and February 2025.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 patients with normal sinus rhythm and 30 patients with arrhythmias. The circumference, area, anteroposterior distance, and intercommissural distance of the mitral annulus were measured at various phases of the cardiac cy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mitral annulus size occurred at the 40% phase of systole, while the minimum size was observed at the 0% phase of diasto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all measured parameters (p<0.05),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high (ICC >0.8). Therefore, measuring the mitral annulus at the 40% phase of the cardiac cycle, when the annulus reaches its maximum size, is recommended to minimize complications in 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lacement.
목차
I. INTRODUCTION
II. MATERIAL AND METHODS
III. RESULT
IV.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 경동맥 CT 혈관조영술 검사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적용의 유용성 평가
- 이중에너지 CT의 Three Material Decomposition 기능을 활용한 췌장 지방 측정에 관한 연구
-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에서 심장 CT와 MRI로 측정한 세포외용적분율의 비교 평가
- 요오드 농도 기반의 동맥기 조영증강 분율의 유용성: 저조영증강 불확정 간결절 감별
- 고속 피치 스캔을 이용한 저용량 조영제 대동맥 CT 혈관조영검사의 진단적 가치
- 표재측두동맥-중대뇌동맥 문합술(STA-MCA Anastomosis) 후 문합부의 최적 조영에 관한 연구
-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의 심장주기에 따른 승모판륜 크기 변화: 심전도 동기화 CT를 이용한 분석
- 인공지능을 활용한 생체 간 이식 공여자 수술 전 CT 평가: 지방간 진단 및 간 내 지방률 측정의 진단적 가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