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를 통한 식중독 예방 캠페인 평가: 사용자 경험 요인과 기술수용요인의 통합적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Effectiveness of Foodborne Disease Prevention Campaign through Metaverse in South Korea: Intergrating User Experience an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발행기관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저자명
마혜현(Hye Hyun Ma) 최미연(Mi Yeon Choi) 백혜진(Hye-Jin Paek)
간행물 정보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제24권 2호, 121~14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메타버스는 사용자 참여와 몰입을 유도하는 디지털 환경으로서 새로운 건강 캠페인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진행한 식중독 예방 캠페인 <지킬박사 월드>를 대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구성하는 기술수용요인과 사용자 경험 요인을 통합하여 캠페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캠페인의 사용자 경험 품질 요인(지각된 게임 난이도, 지각된 디자인) 기술수용요인(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 용이성)을 통해 이용자의 건강 행동 변화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약처에서 받은 2차 자료로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n=543)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지각된 디자인 품질은 행동 변화에 직접 효과를 나타냈지만, 지각된 게임 난이도는 기술수용요인을 통한 간접 효과만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은 모두 행동 변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수용모형을 구성하는 기술수용요인의 설명력이 메타버스와 같은 몰입형 환경에서도 유효함을 보여주는 한편, 사용자 경험 요인의 통합을 통해 공공 캠페인 설계에서 게임 난이도와 같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실제 캠페인 사례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기반 공공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사용자 경험 요인의 적용 가능성과 실무적 활용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metaverse, as a digital environment that fosters user participation and immersion, has emerged as a new medium for health campaign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r. Ji-Keep World, a food poisoning prevention campaig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on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user experience quality factors (perceived game difficulty, perceived design) an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on users’ health behavior change.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n = 543), the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design quality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change, while perceived game difficulty showed only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technology acceptance variables.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ehavioral chang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mains valid in immersive environments such as the metaverse, while also highlighting the need to integrate user experience factors—such as game difficulty—into the design of public campaigns.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metaverse-based public health campaigns using a real-world case and discusses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incorporating user experience factors in campaign design.

목차

1. 연구 배경
2. 공중보건 과제로서의 식중독 이슈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킬박사 월드> 메타버스 캠페인
3. 이론적 틀: 기술수용요인과 사용자 경험 요인의 통합적 적용
4. 연구문제
5. 연구 방법
6. 연구 결과
7.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혜현(Hye Hyun Ma),최미연(Mi Yeon Choi),백혜진(Hye-Jin Paek). (2025).메타버스를 통한 식중독 예방 캠페인 평가: 사용자 경험 요인과 기술수용요인의 통합적 적용.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4 (2), 121-144

MLA

마혜현(Hye Hyun Ma),최미연(Mi Yeon Choi),백혜진(Hye-Jin Paek). "메타버스를 통한 식중독 예방 캠페인 평가: 사용자 경험 요인과 기술수용요인의 통합적 적용."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4.2(2025): 121-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