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ursing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Using Generative AI in Academic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정원민(Won Min Jeong) 정현철(Hyeon Cheol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9권 제3호, 55~6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graduate nursing students while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ir academic research process. Methods : Ten 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had used generative AI tools, such as ChatGPT during their thesis work,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4 to June 20, 2025,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lasting 30∼40 minute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rive significant themes and structures. Results : A total of 92 significant statements were identified, resulting in 26 themes, nine theme clusters, and four overarching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d acceleration of research flow and productivity, formation of self-assurance driven by emotional liberation, balancing convenience and autonomy, and critical reflection for maintaining academic integrity. Participants perceived generative AI as a valuable aid that enhanced accessibility and productivity, and a potential threat to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integrity. Conclusion : Generative AI offer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academic research. While it can serve as a supportive tool that boosts productivity and reduces the emotional burden, overreliance may hinder autonomy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Therefore, nursing education should include clear guidelines and literacy training to support ethical and effective AI integra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generative AI experiences across diverse educational and research contexts in order to inform policies and pedagog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9권 제3호 목차
- 혈액투석환자의 동정맥루천자 시 플라스틱캐뉼라 사용이 통증과 정맥압, 지혈시간에 미치는 효과
- 간호업무에서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간호사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 시뮬레이션 기반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 예비연구
- 간호사의 범문화 효능감, 병원의 문화역량지지가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원생의 학술 연구 과정에서 생성형 AI 활용 경험
-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노력ᝍ보상 불균형 중심으로
- 간호학에서의 사회지능 연구 : 주제범위 문헌고찰
- 한국어판 성인용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Prosocial Behavior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