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Simulation-based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 : A Pilot Study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염계정(Gye Jeong Yeom) 박지연(Ji-yun Park) 김지현(Ji-hyun Kim) 최아름(Areum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9권 제3호, 29~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to conduct a preliminary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ir knowledge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in endo-tracheal intubation. Methods :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only design. A total of 53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n=26; control group, n=27)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November 24 to December 15, 2023. Simulation-based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analysis phase consisted of a literature review and target group survey. In addition, learning objectives and a program structure were designed, and a scenario was developed with expert consulting.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course of 4 hours. The evaluation phase involved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n knowledge related to mechanical ventilation and endo-tracheal intubation nursing clinical performance.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knowledge related to mechanical ventilation (Z=-3.39, p=.001) and endo-tracheal intubation nursing clinical performance (Z=-5.75, p <.001)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simulation-based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knowledge related to mechanical ventilation and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9권 제3호 목차
- 혈액투석환자의 동정맥루천자 시 플라스틱캐뉼라 사용이 통증과 정맥압, 지혈시간에 미치는 효과
- 간호업무에서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간호사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 시뮬레이션 기반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 예비연구
- 간호사의 범문화 효능감, 병원의 문화역량지지가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원생의 학술 연구 과정에서 생성형 AI 활용 경험
-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노력ᝍ보상 불균형 중심으로
- 간호학에서의 사회지능 연구 : 주제범위 문헌고찰
- 한국어판 성인용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Prosocial Behavior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