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Model for a Vascular Insertion Device System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박찬우(Chan-Woo Park) 조평곤(Pyong-Kon Ch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8권 제4호, 385~39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혈관 삽입 도구 시스템을 위한 교육용 모형을 개발하여 만족도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하여 교육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설문 조사는 먼저 제작된 모형을 직접 제시 후, Seldinger technique과 함께 혈관 내로 안내 철사(guide wire) 및 카테터(catheter)가 삽입되는 전체 과정을 시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설문 대상자가 직접 모형을 만져보는 경험을 한 뒤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모든 응답이 완료된 후 회수하는 절차를 거쳤다. 혈관 내 기구 삽입을 재현하기 위해 해당 모형에는 노동맥과 자동맥, 앞뼈사이동맥을 모형화하였고, 이들 혈관과 인접한 노뼈와 자뼈를 함께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3D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혈관과 뼈를 조립해 바늘 또는 도구가 삽입될 경로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Seldinger technique과 카테터 삽입 과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지지하기 위해 투명 아크릴 소재로 박스를 제작하였고, 상단부분에는 피부와 유사한 느낌을 주기 위해 노란색 아크릴을 적용하였으며, 내부 공간은 구조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헤진을 사용하여 채웠다. 모형 만족도 분석 결과 모형의 디자인은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응답이 4.26±0.82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에서는 모형 교육 내용을 충분히 이해했다는 응답이 4.50±0.6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만족 및 임상 수행 능력에서는 모형은 교육용으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는 응답이 4.50±0.6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인자의 상관 분석 결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 만족도와 임상적 역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개발한 모형이 혈관 내 도구 삽입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의료진이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임상 업무를 수행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다양한 형태의 모형이 개발되어 여러 교육 과정에적용된다면, 혈관 내 인터벤션 시술의 교육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educational value of a newly developed model for vascular tool insertion by analyzing satisfaction surveys categorized by profession, age, and prior training. The same questionnaire was used for all participants, covering personal details, model satisfaction, self-efficac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he survey involved hospital visits, in-person demonstrations of the model, and hands-on interaction before completion. To replicate endovascular tool insertion, the model included radial and ulnar arteries, anterior interosseous vessels, and adjacent bones. Using 3D modeling, vessels and bones were assembled to form a pathway for needles and tools, implementing the Seldinger technique and catheterization. The model was 3D-printed and filled with acrylic and resin. urvey results showed satisfaction at 4.18±0.744, self-efficacy 4.34±2.641,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at 4.35±0.685. Nurses scored higher in self-efficac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han radiologists. Prior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scores across all categorie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higher self-efficacy led to greate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his study confirms the model’s educational value, suggesting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clinical training and curricula for endovascular procedures.
목차
Ⅰ. 서 론
Ⅱ. 모형 개발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한국형 갑상선 초음파 영상의 병변 분할 딥러닝 모델
- 자외선 차단제의 SPF 지수 및 두께에 따른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연구
- 체외막 산소화 적용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고찰: 심기능 이상 환자의 임상적 사례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