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외선 차단제의 SPF 지수 및 두께에 따른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Radiopacity according to SPF Factor and Thickness of Sunscreen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한범희(Beom-Hee Han) 정회원(Hoi-Woun Jeong)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제48권 제4호, 343~35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방사선피폭 저감화 노력의 일환으로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하여 SPF 지수 및 두께 변화에 따른 방사선 불투과성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사선량은 10 mAs로 고정하고 관전압을 40 kVp에서 120 kVp까지 변화시키면서 방사선량계를 이용하여 SPF 지수와 두께에 따른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제 두께가 0.5 mm일 때, SPF 15는 90 kVp와 120 kVp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 레벨에서 SPF 100보다 더 높은 차폐 효과가 나타났다. 두께 1 mm에서는 SPF 100이 40 kVp와 60 kVp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 레벨에서 SPF 15보다 더 우수한 차폐 효과가 나타났다. 두께가 3 mm일 때, SPF 100은 50 kVp, 60 kVp, 80 kVp, 100 kVp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 레벨에서 SPF 15보다 더 우수한 차폐 효과가 나타났다. 두께가 5 mm일 때, SPF 100은 40 kVp와 90 kVp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 레벨에서 SPF 15보다 더 우수한 차폐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께가 10 mm일 때, SPF 15는 90 kVp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 레벨에서 SPF 100보다 더 높은 차폐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소재의 방사선 차폐 능력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제품의 차폐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As part of efforts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commonly used sunscreen products to evaluate the radiation shielding effectiveness based on SPF factor and coating layer thickness, using a semiconductor dosimet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fixing the radiation dose at 10 mAs and varying the tube voltage from 40 to 120 kVp, while measuring the radiation dose using a radiation detector for different SPF factor and thicknesses. When the sunscreen thickness was 0.5 mm, SPF 15 showed greater shielding effectiveness than SPF 100 at all energy levels except at 90 kVp and 120 kVp. At a thickness of 1 mm, SPF 100 showed better shielding effectiveness than SPF 15 at all energy levels except at 40 kVp and 60 kVp. When the thickness was 3 mm, SPF 100 was more effective than SPF 15 in all energy levels except at 50 kVp, 60 kVp, 80 kVp, and 100 kVp. At 5 mm thickness, SPF 100 outperformed SPF 15 at all energy levels except at 40 kVp and 90 kVp. Finally, when the thickness was 10 mm, SPF 15 showed greater shielding effectiveness than SPF 100 at all energy levels except at 90 kVp.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radiation shielding capabilities of various materials.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hielding effectiveness of products that are commonly used in daily life in order to improve their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범희(Beom-Hee Han),정회원(Hoi-Woun Jeong). (2025).자외선 차단제의 SPF 지수 및 두께에 따른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48 (4), 343-352

MLA

한범희(Beom-Hee Han),정회원(Hoi-Woun Jeong). "자외선 차단제의 SPF 지수 및 두께에 따른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48.4(2025): 343-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