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가구의 건강과 주거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Impact of Health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Mobility Among Elderly Household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김주영(Ju-Young KIM)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3권 제3호 (통권 제69호), 107~11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Older people's moving behavior, contrary to other lifecycle households, have an unique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its structure and determinants is very helpful to devise housing policy and remedial 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older people’s health, housing, and their subsequent moving or staying actions. Using alternative operating variables of key concepts and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8-2023 data se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ealth and housing status on older people’s residential moves. The results reveal that: (1) higher rates of subsequent moves were observed among older adults with better self-rated health, chronic disease,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chronic disease and moving; and (2) the correlation between older persons’ house ownership/type and their residential moves was significant and consistent over time, steady and lasting. The findings underscore the profound impact of housing type and ownership on moving and identify barriers to moving faced by older individuals, including health constrai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주거이동 이론 및 선행연구
Ⅲ. 연구의 분석틀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영(Ju-Young KIM). (2025).고령가구의 건강과 주거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3 (3), 107-116

MLA

김주영(Ju-Young KIM). "고령가구의 건강과 주거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3.3(2025): 107-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