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Unsold Housing Units After Completion in Jeju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이호진(Ho-Jin LEE)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3권 제3호 (통권 제69호), 69~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o develop countermeasures for unsold housing in Jeju, a thorough assess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ocal context is essential.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unsold housing units after completion in Jeju.
After estimating a vector autoregression (VAR) model and conducting a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on forecast err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luctuations in the housing stock itself, the number of tourists and transactions by outsiders significantly impacted the increase in unsold housing units after completion in Jeju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is suggests that the number of unsold housing units itself serves as important market information for both suppliers and buyers, and that the local economic downturn and decline in outsider investment significantly impact the increase in unsold housing units in the region.
Therefore, while efforts to stimulate the local economy are fundamentally essential to addressing the issue of unsold housing in Jeju, measures to attract outsider investment, such as easing acquisition and property taxes, are also necessary, even temporaril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모형
Ⅳ. 실증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Sustainable Downtown waterfront Development Planning - Focused on Hoan Kiem Lake in Hanoi
- 입지 유형에 따른 관람시설의 공간전략 구조 비교 연구
-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쇠퇴·축소도시·지방소멸 담론의 변화 분석
- 진주시 산업구조 특성과 지역개발사업 유형별 경제적 효과
- 제주지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현상과 지각에 의한 건축 공간·형태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스티븐 홀(Steven Holl)의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 고령가구의 건강과 주거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 모아타운과 토지거래허가제의 중첩효과 - 서울 중랑구 다세대 · 연립주택을 중심으로
- 전세보증금 미반환 이슈가 시장 국면별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구조 기반 분석을 중심으로
- 관찰감가법을 적용한 건물 감정평가의 신뢰성 영향요인 실증분석과 시사점
-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지속거주의사 영향요인 분석
-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속발전 가능성
- Limitations of the Support System for Legal Commercial Districts and the Direction of Change in Policy for Local Commercial Districts : Based on a Korea-Japan Comparison
- 토지피복도 조사를 통한 신도시 공간 분포 분석 - 1, 2기 및 3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사교육 환경특성이 학업만족도와 주거지 이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A Study on Sustainable Downtown waterfront Development Planning - Focused on Hoan Kiem Lake in Hanoi
- 입지 유형에 따른 관람시설의 공간전략 구조 비교 연구
-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쇠퇴·축소도시·지방소멸 담론의 변화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