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c Alliance between the Flour Milling Industry and the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Flour-based Food Consumption in the 1960s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김동주(Dong Joo Kim)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40집 제3호(통권115호), 27~5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분식 소비가 196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단기간에 급증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그 변화의 시대적 조건이자 추동력으로서 제분업계의 역할과 정부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간 한국 학계는 분식의 서사를 미국과 정부를 주어로 삼아 정리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제분업계가 분식 소비 정착의 한 축을 담당했음을 드러냄으로써 기업의 동정을 시야 안으로 당겨오고, 나아가 1960년대 후반 시대상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심화하고자 한다.
1960년대 제분업계는 ‘원조경제’하 과잉투자의 여파로 불황에 빠졌으나, 1960년대 후반 늘어나는 도시 인구와 1965년 한ㆍ일 협정 체결에 힘입은 식료품 제조업의 성장, 그리고 1967~1968년 연속적인 가뭄을 계기로 기회를 맞았다. 식량부족과 이로 말미암은도시의 불안정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제분업계는 정부를 상대로 식량 수급의 파트너를 자임했다. 1967~1969년을 전후하여 제분업계가 박정희 정부와 상호의존 관계를 형성한 결과, 박정희 정부는 전격적인 분식 소비 정책을 시행하는 한편 이에 소요되는 밀가루의 공급 책임을 제분업계에 맡겼다. 이를 계기로 제분업계는 그간 유휴 되어온 설비를 가동할대량의 원맥을 수입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업계는 밀가루 생산을 확대할 수 있었다. 제분업계의 밀가루 공급과 정부의 분식 소비 정책이 호응한 결과, 업계는 중흥에 성공했고 정부는 정권의 안정을 획득했다.
이를 규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를 확인했다. 첫째, 1960년대 중반까지 제분업계가 밀가루 수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 반하여, 박정희 정부는 식량 수급상밀가루의 지분을 제한적으로 전망했다. 둘째, 1967년 이후 단기간에 밀가루 소비가 급증은 도시 인구 증가, 식료품 제조업의 성장이라는 조건 변화와 연이은 한해라는 자연재해가 계기로 작용했다. 셋째, 제분업계는 정부와의 제휴를 통해 설비과잉 문제를 해소하고, 분식장려정책 필요한 밀가루 공급함으로써 한국 사회 분식 정착에 기초를 제공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apid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flour-based foods in South Korea from the late 1960s, focusing on the milling industry and its interaction with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as key conditions and driving forces of this transformation. While previous scholarship has framed the history of flour-based foods primarily in terms of U.S. aid and state policy, this study foregrounds the role of the milling industry in institutionalizing flour-based foods consumption, thereby incorporating corporate agency into the analysis and contributing to a fuller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late 1960s.
The milling industry, having suffered from recession in the early 1960s due to overinvestment under the “aid economy,” began to encounter new opportunit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The growth of the urban population, the expansion of the food manufacturing sector following the 1965 Korea-Japan Agreement, and successive droughts of 1967~1968 created both a food crisis and political instability in the cities. In this context, the milling industry positioned itself as a governmental partner in food security. Around 1967~ 1969, the industry entered into a relationship of mutual dependence with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 The state, in turn, launched an ambitious policy to promote flour-based foods consumption and entrusted the industry with supplying flour. This partnership enabled the industry to import substantial amounts of wheat grain and to reactivate previously idle facilities, thereby expanding flour production. As a result of the alignment between the milling industry’s flour supply and the government’s policy to promote flour-based foods consumption, the industry achieved a resurgence, while the government secured the stability of its regime.
This study advances three main arguments. First, until the mid-1960s, the industry consistently advocated for expanding flour’s role in the food supply, whereas the Park government regarded it only as a supplementary resource. Second, the surge in flour-based foods consumption after 1967 stemmed from structural changes such as urbanization and food-sector growth, coupled with consecutive natural disasters. Third,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state, the milling industry not only resolved its chronic overcapacity but also provided the material foundation for the social entrenchment of flour-based foods in South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제분업의 장기 침체와 정부와의 이해상반
Ⅲ. 제분업의 중흥과 정부와의 상호의존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창업교육의 역사적 전개와 제도화 과정: 대학 및 창업대학원을 중심으로
- 1960년대 제분업계와 정부의 전략적 제휴와 분식 소비의 정착
- ≪반계수록≫에 보이는 재산권 보호 요소
- 지수 승산마을 효주 허만정 선생의 일생과 GS 가문의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
- 일본 기업의 시대별 대한(對韓)직접투자 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점진적 국제화와 코피티션(Co-opetition)을 중심으로
- 가업승계 환경특성요인이 가업승계자 및 원가우위전략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JW그룹의 경영승계와 경영전략의 변화
- Variability, a Key Characteristic of the K-pop Concept: Building the Marketing Strategy of K-pop Idol Groups Through Fandom Vector, Feedback Loop, and Categorical Interpret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