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Chinese Battery-Electric Vehicle Supply Chain Using Network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저자명
- 웨이보 리(Weibo Li) 최의현(Eui-Hyun Choi) 쉬엔 장(Xuan Zhang)
- 간행물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第37卷 第2號, 97~1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에서는 다양한 배터리가 탑재된 수많은 전기차가 생산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터리와 전기차의 관계, 즉 15개의 주요 배터리 회사가 생산한 배터리와 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모델 90종, 그리고 이를 차량을 생산하는 28개 브랜드의 관계를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살펴본다.
중국 배터리 기업은 시장점유율 측면에서 CATL, FDB(BYD 자회사)가 양강을형성하고, 3위 그룹부터는 이들과 큰 차이가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분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과 다소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CATL이 배터리-전기차 공급망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기업이라는 사실은 확인되었지만, FDB는 3∼5위 업체인CABL, SVOLT, Gotion 등과 비교하여 공급망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BYD의 배터리 혁신은 다른 전기차 업체로 확산하는 데 한계가 있고, 후발 배터리 업체의 혁신이 오히려 중국 전기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더 큰역할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China’s electric vehicle (EV) industry features a wide range of vehicles equipped with various battery technologies. This study utilizes network analysis to explore the complex relationships within this ecosystem, focusing specifically on 15 major battery manufacturers, 90 EV models using these batteries, and the 28 automotive brands producing these vehicles.
Traditionally, the Chinese battery market is seen as a duopoly dominated by CATL and FDB (a BYD subsidiary) in terms of market share, with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and other competitors. However, network analysis reveals findings that slightly diverge from these common perceptions. While CATL is indeed confirmed as the most central and crucial entity within the battery-EV supply chain network, FDB does not hold a similarly central position compared to the third-to-fifth-ranked manufacturers such as CALB, SVOLT, and Gotion. As a result, the diffusion of BYD battery innovations seems to be confined largely to its own vehicle models. This suggests that innovations from other, less prominent battery manufacturers, often overshadowed by the top two, may play a more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EV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중국 배터리 산업의 구조와 특징
Ⅳ. 네트워크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북아경제연구 제37권 제2호 목차
- 한일 과학기술협력 60년의 회고와 전망 -공진화 분석을 통한 전략적 협력 전환 방안 모색
- 북한 노동시장의 형성과정에 대한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적 접근
- 한중 간 산업별 공급망 구조 변화에 대한 실증 분석 -동아시아 지역가치사슬(RVC) 재편의 함의-
- 네트워크 방법론을 이용한 중국의 배터리-전기차 공급망 분석
- 미중무역분쟁에 따른 한국의 경제안보 공급망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mitation of BYD's Sustainable Growth and EV Overcapacity of China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동북아경제연구 제37권 제2호 목차
- 한일 과학기술협력 60년의 회고와 전망 -공진화 분석을 통한 전략적 협력 전환 방안 모색
- 북한 노동시장의 형성과정에 대한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