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항저우 쑹청 테마파크 방문객의 체험경제요소 인식이 만족과 SNS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Experience Economy Elements Perceived by Visitors to Hangzhou Songcheng Theme Park on Satisfaction and SNS Word-of-Mouth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장멍멍(Meng Meng Zhang) 무양(Yang Wu) 강상국(Sang Guk Kang)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1권 제3호, 83~9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국 항저우 쑹청 테마파크 방문객의 체험경제요소 인식이 만족과 SNS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체험경제와 방문객 행동 간의 관계를 다룬 바 있으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지각된 가치의 통합적 역할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경제요소가 만족 및 SNS 구전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이들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중국 항저우 쑹청 테마파크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26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WenJuanXing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설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오락체험과 일탈체험은 방문객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체험과 교육체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문객의 만족은 SNS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가치는 오락체험과 일탈체험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심미체험과 교육체험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테마파크 운영자에게 방문객의 심리적 요구에 부합하는 체험 콘텐츠를 설계하고, 자발적인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SNS 기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xperience economy elements in Hangzhou Songcheng Theme Park influence visitor satisfaction and social media word-of-mouth (WOM) intention. Although prior research has explored experience economy and visitor behavior,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integrated role of perceived valu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both the direct effects of experience economy elements on satisfaction and WOM inten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these relationships.
Methods An online survey of 269 Chinese visitors to Hangzhou Songcheng Theme Park was conducted via the WenJuanXing platfor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fact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positively influenced visitor satisfaction, while aesthetic and educational experiences did not. Visito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mpacted SNS word-of-mouth intention. Additionally, perceived value moderated the effects of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on satisfaction, but not those of aesthetic and educational experiences.
Conclusion These findings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theme park operators in designing experience content aligned with visitors' psychological needs and in developing SNS-based marketing strategies to encourage voluntary promo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1권 제3호 목차
- 스마트관광 척도개발: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 다회용기 의무 사용 축제방식이 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행동이론(TPB) 적용 및 지각된 가치와 불편함의 순차적 매개효과
- SCSB 모델을 적용한 루양(洛陽) 박물관 관광객들의 XR 체험과 관광 만족 연구
- 산업관광과 지역 문화관광 콘텐츠의 융합이 외래 관광객 유치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항저우 쑹청 테마파크 방문객의 체험경제요소 인식이 만족과 SNS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의미관광(Meaningful Tourism)의 이론적 정립과 한국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 랜선 투어의 콘텐츠 특성이 지역 이미지, 관광지불의도 및 장기체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공공데이터 기반 지역별 시티투어버스 운행방식에 따른 관광콘텐츠 구성의 다양성 분석: 고정형과 순환형 사례 분석
- 커뮤니티 기반 섬 관광 발전방안 연구: 전라남도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을 중심으로
- 사회적자본, 주민주도형 축제 참여 경험, 지역애착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전라남도 영광군 찰보리축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1권 제3호 목차
- 스마트관광 척도개발: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 다회용기 의무 사용 축제방식이 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행동이론(TPB) 적용 및 지각된 가치와 불편함의 순차적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