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bor Management and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in Wartime Japan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함예재(Ye-Jae Ham)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67집, 117~14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전시체제로 돌입한 일본 사회에서, 노동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체육(産業體育)이 노무관리의 방안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전시기 일본 정부는 병력 동원으로 인한 숙련 노동자의 이탈과 산업현장의 인력 부족에 직면했으며, 이에 따라 노동자의 신체를 유지·관리하는 방식으로 체육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산업체육은 노동력의 질적 관리를위한 정책으로 편입되었고, 후생성과 산업보국회 등 행정·단체 주도로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산업체육은 1920년대 공장체육(工場體育)에서 출발하였으며, 당시 공장체육이질병 이환율과 결근율 감소에 기여했다는 조사 결과가 축적되면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후 1939년 노무관리조사위원회의 제언을 기점으로 산업체육은 국가적 차원의 정책으로 전환되었으며, 체육지도자 양성, 강연회, 단체 체조 등의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노동과학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과도한 노동 강도, 피로 누적, 비효율적인체육 방식 등으로 인해 산업체육은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산업체육이 단순한 복지 정책이 아니라 국가 동원 체제 하의 노무관리 전략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산업체육의 전개 과정과 그 실효성을 구조적 조건과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전시기 산업체육의 정책적 성격과 한계를규명하였다.
영문 초록
After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Japan faced the urgent need to efficiently mobilize and manage its labor force for the war effort. As the conscription of skilled workers exacerbated labor shortages,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産業體育)” was adopted as a means of labor management. While “Factory physical education (工場體育)” had been significant at the corporate level, the 1939 Labor Management Research Committee institutionalized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as a state-led initiative for the maintenance and cultivation of the labor force. The term “physical education (體育)” in this context refers to exercise and training, not to formal schooling.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originated from factory physical education in the 1920s.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morbidity and absenteeism among workers, lea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and lecture sessions. In the 1940s, the Greater Japan Industrial Patriotic Association (産業報国会) took a central role in the systematic promotion of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However,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failed to fully achieve its intended effects. A 1941 study by the Institute of Labor Science revealed that accumulated worker fatigue hindered participation, and rigid, uniform training methods proved inefficient. While industrial physical education was promoted as a key policy for labor force maintenance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its effectiveness as a labor management strategy remained limited, constrained by worsening labor conditions and unresolved structural problem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동력 부족 문제와 후생성의 인식
Ⅲ. ‘질적(質的)’ 노무관리와 산업체육
Ⅳ. 산업체육의 시행과 실효성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