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세기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변화와 移民

이용수  3

영문명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5th Century and Immigration
발행기관
일본사학회
저자명
서광석(Kwang-Suk Seo)
간행물 정보
『일본역사연구』제67집, 5~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한반도는 중국과 일본 열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였으며, 이에 따라많은 중국의 문화와 제도가 한반도를 통해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이러한 문화와 제도의전파는 주로 인구 이동, 즉 이민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4∼5세기 중국의 혼란(위진남북조 시대)으로 많은 漢人이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이주했고, 이들은 일본의 고대 국가 형성과 왕권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왜오왕(倭五王)’ 시기 왜국과 중국 사이의 외교에서 스스로를 漢人 이라 칭하는 집단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선학의 연구를 통해 이들 대부분은 한반도 출신임이 밝혀졌다. 본고는 국가 간 외교는 단순한 교류가 아니라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가능하며, 이러한시스템은 국제 정세와 외교를 깊이 이해하는 인물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4∼5세기 동아시아 세계의 정치적 혼란과 그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이민이 일본의 고대 국가의 형성과 왕권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당시 국제 정세분석을 통해 韓人이 자신들의 출자를 漢人이라고 주장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is functioned as an important bridge that connects Chin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s a result, there are lots of Chinese cultures and systems that were spread to Japan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Such cultural and institutional transmission was just achieved by means of population migration, that is, immigration. During the 4th to 5th centuries, a period of turmoil in China (Wei-Jin-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Civilization), many Han Chinese migrated to Japan vi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ncient Japanese states and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In particular, their role was prominent in diplomacy between the Wa kingdom and China during the era of the “Five Kings of Wa” (倭五王). However, research by earlier scholars has revealed that most of these people were originally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aper, it emphasizes that diplomacy between countries is not merely simple communication bu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Based on the fact that such a system can be constructed by individuals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diplomacy, the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the political chaos in East Asia and the resulting large-scale migration from the 4th to the 5th century on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Japanese stat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its monarchy.

목차

Ⅰ. 머리말
Ⅱ. 4-5세기 중국 정세 변화와 외교
Ⅲ. 한반도 정세 변화와 왜국의 대응
Ⅳ. 고대 이민과 이주민의 出自 인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광석(Kwang-Suk Seo). (2025).5세기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변화와 移民. 일본역사연구, (), 5-42

MLA

서광석(Kwang-Suk Seo). "5세기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변화와 移民." 일본역사연구, (2025): 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