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Angiogenesis Inhibition and Developmental Toxicity of Thiram Using Zebrafish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유민서(Minseo Yu) 이인혜(Inhye Lee) 지경희(Kyunghee Ji)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4호, 239~24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Thiram has been widely used to prevent fungal diseases in crops, as a vulcanization accelerator, and as a component in sunscreens. Excessive use of this chemical has led to its detection in water, sediment, and soil. However, its developmental toxicity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aquatic organisms remain poorly understood.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iram on the development and angiogenesis inhibition of zebrafish larvae were investigated.
Methods: Zebrafish embryos were exposed to control, solvent control, and thiram (0.03, 0.1, 0.3, 1, 3, and 10 μg/L) for 96 hours. Developmental deformities, hatching rates, and mortality were checked every 24 hours.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ngiogenesis (e.g., endoglin (eng ), 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 1 (sflt-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a (vegfaa)) along with changes in VEGF was measur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developmental toxicity.
Results: In embryos/larvae exposed to thiram, an increase in abnormal somites, abnormal eye pigmentation, abnormal tail morphology, pericardial edema, and yolk sac edema were all observed. In particular, delayed hatch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centration group of 0.3 μg/L or higher. In addition, eng and sflt-1 ge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VEGF and vegfaa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firming that thiram inhibits angiogenesis.
Conclusions: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exposure to thiram may impair angiogenesis, ultimately resulting in developmental toxicit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감사의 글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1권 제4호 목차
- [편집인의 글] 폭우, 폭염…곰팡이 및 미생물 노출에 대응한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
- EU REACH의 고분자 등록 전망
- 동물대체시험법(NAMs)의 국제 정책ㆍ기술 동향과 규제 수용성 비교에 관한 문헌 검토: EUㆍ미국ㆍ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비스페놀 F (BPF)와 과불화옥탄술폰산(PFOS)의 혼합노출이 제브라피쉬의 간독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제련소 주변지역 주민들의 PAHs 및 VOCs 노출과 염증 수준 및 만성 질환 간의 관계에 대한 단면 연구
-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티람의 혈관신생 억제 및 발달독성 평가
- 유통 의약외품 마스크의 포름알데히드 잔류 실태 조사
- 기후 변화 시대의 건강 대응: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기반 환경보건 연구 동향과 정책 제안
- 자연기반해법의 공편익을 중심으로 한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환경보건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