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alth Responses to Climate Change: Trends in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Based on Digital Healthcare Technologi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예진(Yejin Kim) 강신우(Cinoo Kang) 민하린(Harin Min) 안서영(Seoyeong Ahn) 안소진(Sojin An) 이환희(Wha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4호, 183~18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Climate change increasingly threatens human health worldwide, particularly through extreme weather events, rising temperatures, and ecological disruptions. Traditional studies on climate-related health effects have relied on retrospective designs and population-level exposure averages, limiting their accuracy at capturing individual variations in exposur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bjectives: This review aims to examine recent trends in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utilizing digital healthcare technologies—particularly wearable devices—and propose research and policy strategies to enhance climate-related health responses.
Methods: This narrative review examined studies on environmental health using digital healthcare technologies.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24 and July, 2025 were retrieved from Google Scholar, SCOPUS, and PubMed using predefined search terms. Eligible studies employed wearable devices to collect physiological data from humans and analyzed individual responses to environmental exposures such as heat or air pollution. From the 1,315 records initially identified, 29 articles were screened and six met the inclusion criteria after a full-text assessment. Exclusions involved reviews, studies without physiological measures, occupationally restricted research, and indoor-only studies.
Results: Wearable technologies were found to enable precision environmental exposure assessments, real-time health risk alert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health equity. Integrating wearable data with high-resolution environmental models and AI-based predictions allows for individualized, timely risk notification—especially for vulnerable populations.
Conclusions: Digital health tools based on wearable devices can enhance personalized, real-time responses to climate-related health threats. Their integration into public health systems may strengthen societal resilience and promote equitable health outcomes for climate chang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감사의 글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1권 제4호 목차
- [편집인의 글] 폭우, 폭염…곰팡이 및 미생물 노출에 대응한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
- EU REACH의 고분자 등록 전망
- 동물대체시험법(NAMs)의 국제 정책ㆍ기술 동향과 규제 수용성 비교에 관한 문헌 검토: EUㆍ미국ㆍ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비스페놀 F (BPF)와 과불화옥탄술폰산(PFOS)의 혼합노출이 제브라피쉬의 간독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제련소 주변지역 주민들의 PAHs 및 VOCs 노출과 염증 수준 및 만성 질환 간의 관계에 대한 단면 연구
-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티람의 혈관신생 억제 및 발달독성 평가
- 유통 의약외품 마스크의 포름알데히드 잔류 실태 조사
- 기후 변화 시대의 건강 대응: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기반 환경보건 연구 동향과 정책 제안
- 자연기반해법의 공편익을 중심으로 한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환경보건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