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Studies of Immersive Exhibition Utilizing AI
- 발행기관
- 글로벌응용인문학회
- 저자명
- 현진오(Jinoh Hyu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제3권 2호, 163~17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AI)이 예술 및 문화현장에서 창의적 동반자로서 이머시브 전시의 창작, 연출, 관람, 참여, 교육, 사회적 소통 등 다양한 측면에 어떻게 융합·적용되고 있는지를 국내외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AI를 도입한 이머시브 전시는 단순한 예술감상의 맥락을 넘어, 관람자를 능동적 주체로 전환시키며, 오감 자극과 실시간 맞춤형 피드백을 결합한 다층적인 몰입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AI는 방대한 이미지·음향·텍스트·환경 데이터, 관람자의 행위·감정·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전시의 콘텐츠·연출·내러티브 자체를 실시간으로 변화시키는 능동적 큐레이터 및 공동창작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머시브 전시는 예술가, 기술자, 기획자, 관람자가 모두 실시간 데이터 교환·분석·재구성을 통해 함께 작품을 진화시키는 창작 생태계로 변화했다. 공간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가상-실재의 경계가 완화되고, VR/AR, 360도 프로젝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감각적 인터페이스가 도입되어, 각 관람자가 자신만의 경험을 재창조하는 촉진제가 되고 있다. 또한, AI는 장애인, 노인, 소외계층 등 다양한 집단에게 예술 접근권을 확장하는 포용적 디자인, 원격/비대면·메타버스 기반 전시, NFT와 결합한 창작 생태계 민주화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중요한 기능을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비대면 전시와 온라인 플랫폼의 확산은 AI 이머시브 전시가 이제 단순한 예술적 실험이 아니라, 인간의 감성·사회적 관계·교육·치유까지 아우르는 총체적 문화혁신임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AI 기반 이머시브 전시가 예술 생태계의 본질을 파괴하며, ‘관계의 미학’과 ‘경험의 존재론’이라는 21세기 예술의 새로운 전형을 만들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예술과 기술, 사회가 공진화하는 미래 경험 디자인의 핵심 원리를 모색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integrated into immersive exhibitions as a creative collaborator across various aspects, including creation, curation, visitor engagement, participation, educa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draw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I-driven immersive exhibitions go beyond the traditional context of art appreciation by transforming visitors into active participants, offering multi-layered immersive experiences that combine multi-sensory stimuli and real-time personalized feedback. In particular, AI performs the role of an active curator and co-creator, analyzing vast volumes of image, sound, text, and environmental data as well as visitor behavior, emotional states, and biometric signals, thereby dynamically altering the exhibition’s content, direction, and narrative in real time.
Immersive exhibitions have evolved into creative ecosystems where artists, technicians, planners, and audiences jointly evolve the artwork through real-time data exchange, analysis, and reconstruction. In terms of spatial design,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environments have blurred, with multisensory interfaces such as VR/AR, 360-degree projection, and wearable devices empowering each visitor to redefine their own experience. Furthermore, AI plays a pivotal role in realizing social value by expanding equitable art access for diverse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elderly, and socially marginalized populations, through inclusive design, remote/non-face-to-face and metaverse-based exhibitions, and democratizing the creative ecosystem via NFT integration.
The expansion of remote/non-face-to-face exhibitions and online platforms after the COVID-19 pandemic demonstrates that AI-driven immersive exhibitions are no longer mere artistic experiments, but represent a holistic cultural innovation encompassing human sensibility, social relations, education, and healing. This paper highlights that AI-based immersive exhibitions are disrupting the essence of artistic ecosystems, forging new paradigms for 21st-century art such as the “aesthetics of relationality” and the “ontology of experience.” Through this lens, the paper explores the core principles of future experience design in which art, technology, and society co-evolv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제3권 2호 목차
- 한 여성의 사계절, 한 시대의 기억: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생애서사와 문화인류학적 상상력
- 종교의 극단, 정치의 극단: 현상과 영향에 대한 분석
- 물류로봇 경진대회 참여자의 컴퓨팅사고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인공지능역량에 미치는 영향
- AI를 활용한 이머시브 전시회 사례 연구
- Second Language Learning Motivational Self System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및 문화교육 통합 교재 개발 방안
- 한국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시범 격파 경험이 자신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고령자 낙상예방 AI 모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제3권 2호 목차
- 한 여성의 사계절, 한 시대의 기억: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생애서사와 문화인류학적 상상력
- 종교의 극단, 정치의 극단: 현상과 영향에 대한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