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및 문화교육 통합 교재 개발 방안

이용수  0

영문명
A Development Plan for Integrated Korean Writing and Culture Education Textbooks by Proficiency Level for Foreign Learners
발행기관
글로벌응용인문학회
저자명
김지은(Jieun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제3권 2호, 39~5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및 문화 교육 교재 개발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한국어 학습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급증하면서 효과적인 교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기존의 교재들은 글쓰기와 문화 교육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데 미흡하며, 학습자 수준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글쓰기 교육, 문화 교육 관련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선행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교재 개발을 위한 핵심 원리와 상세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재는 학습자 중심 설계, 의사소통 중심 접근, 문화 통합 교육, 그리고 수준별 차별화라는 네 가지 기본 원리에 따라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은 초급(1-2급), 중급(3-4급), 고급(5-6급)으로 구분되며, 각 수준 간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나선형 구조로 설계된다. 글쓰기 교육은 계획, 작성, 수정, 편집의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과정 중심 접근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문화 교육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내용을 선정하여 글쓰기와 유기적으로 통합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교재 개발 방안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 문화 이해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ncrete plans for developing Korean writing and culture education textbooks tailored to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for foreign earners. With the recent surge of global interest in learning Korean, the need for effective textbooks has become more pressing. However, existing materials show limitations in integratively addressing both writing and 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insufficient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review of theor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riting instruction, and cultural education, alongside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to derive key principles and detailed strategies for textbook development.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four fundamental principles: learner-centered design, communication-oriented approaches, integrated cultural educatio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proficiency levels.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in a spiral manner to ensure continuity across three levels—beginner (levels 1-2), intermediate (levels 3-4), and advanced (levels 5-6). Writing education follows a process-oriented approach that systematically guides learners through planning, drafting, revising, and editing stages. Cultural education is integrated organically with writing instruction by selecting practical and realistic content. The practical and systematic development plan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nhanc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deepening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mong foreign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교재개발의 기본원리 및 교육과정 설계
Ⅳ.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은(Jieun Kim). (2025).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및 문화교육 통합 교재 개발 방안.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3 (2), 39-57

MLA

김지은(Jieun Kim).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및 문화교육 통합 교재 개발 방안."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3.2(2025): 3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