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48년 남북협상 재조명: 소련의 통일전선 전략 요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Reappraisal of the 1948 Inter-Korean Negotiations: Focusing on the Soviet Union’s United Front Strategy as a Strategic Determinant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유나영(Nayoung Yoo)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47집 제1호, 135~1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48년 남북협상을 소련의 통일전선 전략을 중심으로 재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연구는 협상을 전후로 한 시기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소련 군정요인을 다소 지엽적으로 조명한 한계를 갖고 있다. 해방 후 소련은 동유럽, 중국 등지에서 연립정부 수립 전략을 통해 공산화 작업을 진행하였고, 한반도 역시 그 전략의 예외선상은 아니었다. 소련은 통일전선의 전형적 전략인 대표적 우익진영 배제와 그들에게 유리한 내각구성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미소공위의 실패로 결국 그 시도는 무위로 돌아갔다. 비록 남한의 지도자들은 민족적 견지를 근간으로 남북협상을 시도하였지만, 그러한 시도는 소련에게 통일전선 전략 실행의 불씨를 살려주는 역할을 했다. 소련은 남북협상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면서,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퇴출과 좌익 주도의 정부구성을 기도하였다. 결국 이러한 소련의 전략으로 말미암아 당시 통일 한반도라는 이상은 결실을 맺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ppraise the 1948 inter-Korean negotiations through the lens of the Soviet Union’s united front strategy. Previous studies have either focused narrowly o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negotiations, or have treated Soviet military involvement in a somewhat fragmented manner. After Korea’s liberation, the Soviet Union pursued its communist agenda through coalition government strategies across Eastern Europe, China, and beyond,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no exception. The Soviets sought to exclude major right-wing factions and to establish a favorable cabinet—an archetypal united front tactic. However, the failure of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ultimately thwarted this plan. While South Korean leaders attempted inter-Korean negotiations on the basis of ethnic solidarity, these efforts unintentionally reignited the impetu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oviet united front strategy. The Soviet Union effectively dominated the negotiation process, aiming to expel the 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UNTCOK) and to form a left-leaning government. In the end, this strategic posture by the Soviet Union failed to bring about the ideal of a unified Korean peninsula.

목차

Ⅰ. 서 론
Ⅱ. 소련의 통일전선 전략: 핵심전략과 동유럽, 중국의 사례
Ⅲ. 한반도와 소련의 통일전선 전략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나영(Nayoung Yoo). (2025).1948년 남북협상 재조명: 소련의 통일전선 전략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7 (1), 135-172

MLA

유나영(Nayoung Yoo). "1948년 남북협상 재조명: 소련의 통일전선 전략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7.1(2025): 13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