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es for Resuming Inter-Korean Cooperation in Agriculture and Forestry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 저자명
- 최현아(Hyun-Ah Choi) 박경석(Kyung Seok Park)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Vol.11 No.1, 99~11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북한 농림업 기반시설 지원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남북 농림업 협력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WFP, UNDP, FAO, SDC 등 국제사회 내 주요 국제기구와 민간기구들은 북한의 식량안보 확보, 산림 복구, 농업 기반 조성 등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일부는 현지 고용 창출과 지역 기반시설 개선에도 일정 부분 이바지하였다. 다만 이러한 협력 사례는 대부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팬데믹 이후 북한의 국경 봉쇄로 인해 외부와의 협력이 중단되면서 최신 사례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사례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남북 간 협력의 방향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대북제재와 북한의 폐쇄적 정책 환경으로 인해 지원 사업이 단기적·제한적인 수준에 머무르며 자립 기반의 지속가능한 개발로 이어지지 못한 점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남북협력이 재개될 경우, 단순한 식량지원에서 벗어나 농림업 기반 인프라 구축과 북한의 자립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한 중장기적 협력 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international support for North Korea’s agricultural and forestry infrastructure and explores directions for resuming sustainable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is sector. Major international and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including the WFP, UNDP, FAO, and SDC, have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aimed at ensuring food security, restoring forests, and building agricultural foundations in North Korea. Some of these efforts have also contributed to local employment and the improve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However, most of these cooperative projects took place prior to the COVID-19 pandemic. Since the onset of the pandemic and North Korea’s border closures, there has been a halt in external collaboration, resulting in a lack of recent examples.
Nevertheless, a systematic review of past initiatives underscores the need to redefine future cooperation strateg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 critical challenge persists: international sanctions and North Korea’s isolationist policies have restricted support efforts to short-term, limited-scope projects, falling short of fostering sustainable, self-reliant development. Therefore, when inter-Korean cooperation resumes, it is imperative to shift beyond basic food aid and adopt a mid-to-long term framework focused on strengthening agricultural and forestry infrastructure and enhancing North Korea’s capacity for self-sufficiency.
목차
Ⅰ. 서론
Ⅱ. 국제사회의 대북 농림업 기반시설 지원사례 분석
Ⅲ. 국제사회의 대북 농림업 사업의 영향과 한계
Ⅳ. 국제협력을 통한 남북협력 관점에서 단계별 추진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