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권 초기(2011-2016) 김정은과김정일 승리연합의 관계 평가 - 조선로동당 6기 정치국 인선변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ssessment on power balance between Kim Jong Un and Kim Jong Il’s winning coalition in early Kim Jong Un period(2011-2016) : Focusing on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WPK 6th Politburo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저자명
이준희(Junhee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Vol.11 No.1, 41~7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준비되지 않은 젊은 독재자 김정은과 김정일 정권의 노간부들로 구성된 승리연합(winning coalition)이 적대관계가 아니었다는 것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인선변동 데이터를 근거로 주장하고자 한다. 김정은 초기 정치국에서 숙청당한 자들의 수는 생각보다 적었으며, 이들은 김정일 승리연합에서 이질적인 존재들이거나 오히려 2009년 이후에 승리연합에 영입된 신인들이었다. 그외의 탈락자의 대다수는 고령으로 인한 은퇴였으며 이중에선 김정은의 핵심 지지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김정일 승리연합 중 당비서들을 비롯한 핵심 엘리트들은 오히려 끝까지 잔류하였다. 김정은은 정치국의 실무화, 군부와 보안기구의 장악, 선택적인 공포정치로 자신만의 리더십을 내세우고 주도권을 분명히 하였으나, 원로간부들의 일괄적 제거가 아닌, 핵심 원로간부들과의 제휴, 유용성이 떨어지는 간부들의 명예로운 퇴장을 선택하면서 원로들과의 제휴를 통한 정치적 이익을 얻었다. 김정은과 노간부들의 관계는 대립 관계라기보단 복종과 존중의 교환에 가까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rgues, based on data on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Politburo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experienced young leader Kim Jong Un and the senior elites of Kim Jong Il’s winning coalition was not adversarial. Contrary to common assumptions, the number of purges within the early Politburo under Kim Jong Un was relatively limited. Those who were purged tended to be either marginal figures within Kim Jong Il’s coalition or newly recruited members incorporated after 2009. The majority of replaced Politburo members were retired due to their advanced age, a practice applied even to key supporters of KJU. Key elite figures, including party secretaries who had formed the core of Kim Jong Il’s winning coalition, largely remained in place. While Kim Jong Un clearly asserted his leadership through the functional reorganization of the Politburo, consolidation of control over the military and security apparatus, and selective use of coercive politics, he opted not for a wholesale removal of elder officials but for strategic alliances with key senior cadres and the honorable retirement of less useful officials. Rather than a relationship of open confrontation, the dynamic between Kim Jong Un and the old guard was closer to one of reciprocal obedience and defer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틀과 선행연구 검토
Ⅲ. 6기 정치국의 보선 특징 분석
Ⅳ. 6기 정치국의 탈락 특징 분석
Ⅴ. 재선자들과 은퇴자들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희(Junhee Lee). (2025).집권 초기(2011-2016) 김정은과김정일 승리연합의 관계 평가 - 조선로동당 6기 정치국 인선변동을 중심으로.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11 (1), 41-72

MLA

이준희(Junhee Lee). "집권 초기(2011-2016) 김정은과김정일 승리연합의 관계 평가 - 조선로동당 6기 정치국 인선변동을 중심으로."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11.1(2025): 4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