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재디자인 기반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재 대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제안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isaster Prevention Design-Based Fire Evacuation Application Design Proposal for Hearing-Impaired Individuals : Focusing on Residential Buildings
발행기관
국가위기관리학회
저자명
김은진(Eun Jin Kim) 노황우(Hwang Woo Noh)
간행물 정보
『국가위기관리학회보』제14권 제2호, 61~7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국내 공동주택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공동주택 내 대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 사고는 많은 인명 피해를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의 화재 대피 알림 시스템이 음성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청각장애인들이 대피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구조적 복잡성은 청각장애인의 대피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방재디자인 원칙을 적용하여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적 및 촉각적 대피 안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방재디자인의 연구 프로세스를 채택하여,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기능을 갖춘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애플리케이션은 시각적 신호와 촉각적 알림을 통해 청각장애인에게 화재 발생 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대피 경로를 안내하여 안전한 대피를 지원한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재 대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화재 대피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제안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재난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효율적인 대피를 지원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청각장애인을 위한 재난 대응 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다양한 대피 상황에서의 진행한 실증 연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s multi-family housing becomes more prevalent in Korea, evacuation in these complex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ires in such residences can lead to significant casualties, but current fire alert systems rely heavily on auditory signals, making evacuation difficult for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Additionally, the complex structure of these buildings complicates evacuation further for these individual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pplied disaster prevention design principles to develop a visual and tactile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Following a disaster prevention design process, the proposed application communicates fire situations effectively through visual and tactile alerts and provides safe evacuation guidan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applica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evacuation safety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has potential for broader use in various disaster scenario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method for effective evacuation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contributing to advancements in disaster response systems. Future empirical research will be needed to verify the application’s effectiveness across different evacuation scenario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공동주택 화재 감지 및 대피 시스템
Ⅳ. 화재 대피 애플리케이션 개발
V. 전문가 검증
Ⅵ . 결론 및 기대효과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진(Eun Jin Kim),노황우(Hwang Woo Noh). (2024).방재디자인 기반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재 대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제안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국가위기관리학회보, 14 (2), 61-71

MLA

김은진(Eun Jin Kim),노황우(Hwang Woo Noh). "방재디자인 기반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재 대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제안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국가위기관리학회보, 14.2(2024): 6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