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for Establishing ESG Management Plans for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지방공기업학회
- 저자명
- 임용연(Rongyan Lin) 황은진(Eunjin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제20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는 공공기관의 ESG경영선도와 공공부문의 ESG투자 활성화를 양대 축으로 제시하면서 최근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지방출자·출연기관의 지역사회 공익사업과 ESG의 연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출자·출연기관의 2023년 ESG 경영 추진계획을 검토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분석을 실시하고, K-ESG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제주도의 출자·출연기관 ESG관리를 위한 주요 항목(item)을 선별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결과 제주도의 출자·출연기관 ESG 경영계획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단어는 환경(E)의 지속가능, 탄소중립, 신재생, 사회적 책무(S)의 소통, 책임, 지역사회 지배구조(G) 의 투명경영, 공정성, 청렴도 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후, 전문가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AHP조사를 실시하였다. AHP분석 결과, 제주도 출자·출연기관 ESG경영의 대분류 중 환경(E)부문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분류 중 인사조직관리와 친환경 실천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분류에서는 녹색투자 역량, 제로웨이스트 실적, 성과관리 적정성 등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has recently heightened its focus on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presenting the leadership in ESG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 activation of ESG investment in the public sector as its two main pillars.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linking regional public benefit projects of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with ESG.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ed the 2023 ESG management promotion pla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and conducted text mining analysi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K-ESG guidelines to select key items for ESG management evaluation. The text mining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monly emphasized words in the ESG management plans of Jeju's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include sustainability, carbon neutrality, and renewable energy in the Environmental (E) category;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and co munity in the Social (S) category; and transparent management, fairness, and integrity in the Governance (G) category. Additionally, an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survey was conducted with experts and practitioners and sub-elements were extra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ESG management for Jeju's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the Environmental (E) sector has the highest priority. Within the medium categories,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eco-friendly practices have high priorities. Finally, in the sub-categories, green investment capacity, zero waste performance, and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having high priorities.
목차
Ⅰ. 서 론
Ⅱ. ESG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