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rman's Anti-terrorist Legislation Related to Information Gathering and South Korea's New Direction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권정훈(Jeong-Hoon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8권 제3호, 205~2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테러방지에 있어서 중요한 테러 관련 정보 수집에 관한 권한을 확대하고 있는 독일 연방기관의 테러대응 관련 법률의 변경 사항과 한국의 정보 수집 관련 테러대응 법제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 정보기관들이 지향하기 위한 실체법 내지 절차법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보기관의 테러 위험방지를 위한 정보 수집의 권한은 비권력적 사실행위, 즉 실질적 의미의 작용이기 때문에 이들의 활동은 원칙적으로 당연히 허용된다. 그러한 논거로는 이들 모두 국가의 안전보장과 공공의 안녕 및 질서유지에 기여하게 된다는 점이다. 9·11테러 이후 기존 법률의 일부를 일괄해서 변경한 「테러대책법」으로 인해 「연방헌법보호청법」, 「군방첩부법」, 「연방정보청법」 등 다방면에 걸쳐 법령이 변경되면서 연방기관의 테러 관련 정보 수집에 관한 권한을 확대한 독일의 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의 정보기관도 국가안보라는 거시적 차원에서 볼 때 때로는 권력적 수단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나아가 국가의 존립과 안전을 보호한다는 거시적 틀에서 이해할 때 다음과 같은 법적 근거의 재정비가 긴요시된다.
첫째, 인권침해 소지를 최소화한 「통신비밀보호법」의 법률적 보완과 국가인권위원회나 시민단체들과의 공청회 등을 통하여 테러대응을 위한 정보 수집의 활동 권한을 확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둘째, 테러자금의 추적 및 차단조치를 강화하기 위한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률의 조항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출입국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출입국관리체계의 변화와 항공기 내에 있어서 기장이나 승무원의 정보 수집을 위한 임무의 권한 확대 및 정보 제공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의 절차 및 협력사항 등 세부 사항에 관해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될 것이다. 넷째, 이와 같은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선행 과제중의 하나는 정보기관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독일의 NADIS와 같은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islation system of German federal government which has been expanding its authority to collect information on terrorism and compare it with South Korea' legislation system and also propose to set a direction of Intelligence agencies should take.
The intelligence agency's gathering information on terrorism has been allowed. This is for a national security, a public security, and the maintenance of public order. By the anti-terrorist legislation set up after 9/11 attack, amendments were made in many fields such as「Bundesamt für Verfassungsschutz Recht」, 「Militarischer Abschirmdienst Recht」, 「Bundesnachrichten dienstes Recht」, 「Bundespolizei Recht」 and 「Bundeskriminalamt Recht」. This implicates that German's model that gave the federal agency more power to gather information on terrorism. South Korea's information agency needs to have power in the aspects of the national security. Therefore some legal ground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tect peoples' life, property and keep the existence of a nation. The key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privacy protection law needs to be fixed and it is required to expand its authority to collect information on terrorism after gathering public opinions such as hearings or the NHRC(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Second, the law for money laundering and the regulations for the financial transactions and reports should be set up to keep an eye on the funds raised by terrorists and tracking down the terrorists..
Third, some parts such as the process of giving information and cooperations should be embodied for the clear definition. Besides, it should strengthen the current immigration control system. Pilots and flight attendants should be on patrol for the safety of the cabin.
Fourth, above all, advanced system like German's NADIS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intelligence agencies to share the information.
목차
Ⅰ. 서론
Ⅱ. 독일의 정보 수집 관련 테러대응 법률
Ⅲ. 한국의 정보 수집 관련 테러대응 법제
Ⅳ. 정보 수집 권한의 확대에 따른 주요 쟁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설경비원의 과거 사건충격이 스트레스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민간경호원칙 설정의 필요성에 대한 질적 연구
- 해양경찰 교육훈련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공무원의 심리적 계약의 내용과 특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교분석
- 경비업법 상 윤리적 요소와 경호윤리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청소년 비행요인의 비교분석
- 독일의 정보 수집 관련 테러대응 법제와 한국의 방향
- 경비업 관련 직무종사자 직업윤리의식수준이 직무태도 및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재정신청제도의 개정방향에 관한 소고
- 제주자치경찰공무원의 승진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