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자본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1

영문명
Impa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Citizen
발행기관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저자명
최순희(Sun-Hui Choi) 박미경(Mi-Gyeong Park) 이무식(Moo-Sik Lee)
간행물 정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3권 제2호, 23~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년 일개 광역시 일개 구에 거주하는 구민 729명을 대상으로 한 건강도시 유성을 위한 수요조사 원시자료를 재료로 분석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요인을 기반으로 사회적 자본과건강행태요인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건강증진 개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 및 건강도시를 위한 정책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사회적 자본 수준과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건강행태의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연환경과 재난환경이 좋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았고, 수면행태가 좋았으며, 이웃과의 왕래가 좋을수록 운동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이 끼쳤으며, 고용기회 및 경제활동이 좋을 경우 금주, 금연, 적정 수면시간과 운동 중 3가지를 시행하는 건강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자본은 개인의 건강행태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주민의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접목한 공중보건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방법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tha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self-perceived social capita on smoking, drinking, sleeping behavior, exercise, and health behavior. We analyzed raw data from a needs survey for healthy city projects targeting 729 residents living in one metropolitan city in 2022. Variables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gender, ag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relational variab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to understand the social capit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R progra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health behav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atural environment, disaster environment, social security and welfare, and traffic with neighbors affected smoking, sleeping, and exercis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were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tter the natural and disaster environment, the less smoking and the better the sleeping behavior.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the more positive the exercise behavior was. It was confirmed that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behavior of performing three of drinking alcohol, smoking cessation, appropriate sleep time and exercise. As a result, social capital has a direct effect on individual health behavior,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community programs and methods grafted with local social capital seems necessary to promote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local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순희(Sun-Hui Choi),박미경(Mi-Gyeong Park),이무식(Moo-Sik Lee). (2024).사회적 자본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3 (2), 23-47

MLA

최순희(Sun-Hui Choi),박미경(Mi-Gyeong Park),이무식(Moo-Sik Lee). "사회적 자본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3.2(2024): 2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