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과측정 역설(PMX)의 통제, 무엇이 필요한가: 청년정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Manag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Paradox (PMX): What Is Needed? A Focus on Youth Policy
발행기관
한국국정관리학회
저자명
한이정(Yee Jung Hahn) 이정욱(Jung Wook Lee)
간행물 정보
『현대사회와 행정』第35卷 第2號,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과관리의 실효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성과측정 역설(PMX)’에 주목하고, 이를 통제하기 위한 관리적 방안을 청년정책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PMX는 성과관리의 핵심 활동인 성과측정 단계에서 나타나는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왜곡 현상으로, 주로 대표성이 부족한 지표의 선정, 도전적이지 않은 목표치 설정, 결과보다는 투입·과정 중심의 측정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17개 광역자치단체의 20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PMX 실태를 진단하고, 위계선형모형(HLM)을 통해 그 영향요인을 각각 사업 수준과 광역 수준의 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1,528개 사업 중 77.2%에서 최소 1개 이상의 PMX 유형이 나타났으며, 사업 수준의 관리적 요인인 대상 모호성과 사업 자율성, 광역 수준의 관리적 요인인 정책관리조직과 전달체계가 PMX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정책 내 PMX의 효과적 통제를 위한 핵심 관리과제로 정책 대상의 명확화와 청년전담부서의 권한 강화, 청년센터 설치 등 광역별 조직적 기반 확보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Paradox (PMX) as a critical factor that undermines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It empirically investigates managerial approaches for its control, focusing on youth policy in South Korea. PMX refers to both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distortions that occur dur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phase, such as the selection of non-representative indicators, the setting of unambitious targets, and measurement practices that emphasize inputs or processes over outcomes. The study draws upon the 2023 youth policy implementation plans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PMX and analyzes its factors through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with a particular focus on managerial factors at both the project and metropolitan leve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77.2% of the 1,528 projects exhibited at least one type of PMX. Project-level factors, including target ambiguity and autonomy, and metropolitan-level factors, such as policy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delivery systems, have been identified as significant contributors to PMX. In light of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key management strategies to effectively control PMX within youth policy: clarifying policy targets, and securing a solid organizational foundation such as the consolidation of the authority of youth policy units and the establishment of youth centers across regions.

목차

Ⅰ. 서론
Ⅱ. 성과관리의 역기능적 현상: 성과측정 역설
Ⅲ. 분석대상으로서 ‘청년정책’
Ⅳ. 연구설계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이정(Yee Jung Hahn),이정욱(Jung Wook Lee). (2025).성과측정 역설(PMX)의 통제, 무엇이 필요한가: 청년정책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5 (2), 1-32

MLA

한이정(Yee Jung Hahn),이정욱(Jung Wook Lee). "성과측정 역설(PMX)의 통제, 무엇이 필요한가: 청년정책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5.2(2025):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