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Sexual Difference Seen Through The Development of Feminist Theology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최순양(Soon-Yang Choi)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19호, 193~22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창기 여성학자들은 인간에게 존재하는 성의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말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연구들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몸들을 여성과 남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성으로만 나누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생각의 발전은 급기야 인간을 남성과 여성으로만 분류하는 것은 무언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는 것을 보게 하였고,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성의 차이 외에 인종적, 계급적 차이들도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성의 차이(sexual difference)가 시대가 발전하면서 어떻게 다르게 이해되었는지를 다루었다. 이러한 성의 차이를 사회학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여성 신학에서도 성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시몬 드 보부아르 등과 같은 초기 여성주의자들의 이론과 생물학적 본질주의의 입장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을 신학적으로 전개한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와 엘리자베스 존슨(Elisabeth A. Johnson)의 신학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차이도 존재하지만, 여성과 여성 간의 인종적 차이도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한 우머니즘을 살펴보고, 이러한 우머니즘이 신학적으로는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성의 차이, 혹은 인간의 성 정체성이라는 것은 고정적으로 확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있는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비본질주의적 인간 이해를 정리해 보고, 이런 견해가 신학적으로 연결된 캐서린 켈러(Catherine Keller)의 ‘되어가는 신학’, ‘테홈 하나님’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how sexual difference began to be understood differently as the times developed. At the same time, we will not only look at these gender differenc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examine how these gender differences developed in feminist theology ―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in women’s studi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position of biological essentialism, such as Simone Beauvoir, the theory of early feminists, and examines the theology of Sally McFague and Elizabeth Johnson, who developed these ideas theologically. In addition, we will examine Womanism, which asser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but also racial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how this Womanism developed theologically. Judith Butler’s non-essentialis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ich questions whether gender differences or human sexual identity can be fixed or not, will be summarized, and then I would like to move to Catherine Keller, whose views are theologically connected. I would like to conclude this thesis by examining the “theology of becoming” and “Tehom God”.
목차
I. 머리말
II. 생물학적 본질주의에 입각한 성의 차이(남녀의 차이)
III. 생물학적 성으로 여성을 바라보는 입장의 신학자들 —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와 엘리자베스 존슨(Elizabeth Johnshon): 여성성(생물학적 여성)을 하나님의 이미지로 제시하다
IV. 여성 간의 차이(인종적, 민족적 차이)를 통해 성차를 말하려고 했던 여성주의 ― 소설 『컬러 퍼플』의 ‘하느님’과 ‘보라색 빛’
V. 성차와 교차적으로 인종과 계급 문제를 살피려 한 학자 ― 들로레스 윌리엄스(Delores Williams)
VI. 비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바라 본 ‘여성’ ―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젠더 해체
VII. 여성성과 남성성을 넘어 ‘신비’로서의 하나님 ― 캐서린 켈러(Catherine Keller)의 ‘테홈’(tehom) 하나님
VIII.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신학 신론에서 나타나는 독특성
- 여성신학의 관점에서 성서 읽기 ― 쉬슬러 피오렌자와 와이어의 해석학에 대한 고찰
- 돌봄 위기와 극복에 대한 여성신학적 성찰
-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사회 변혁과 여성 주체성 형성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여성신학의 역사적 배경, 그 특징과 유형들
- [비평과 전망] 세속국가에서 교회가 공론의 장에 참여하는 방식
- 신학과 교회 제19호 목차
- 권두언
- 여성신학적 교회사 서술에서 이룩된 성취 ― 초대교회 제도 교회 내의 여성 성직을 중심으로
- 생태여성신학의 전개와 생태학적 여성주의 담론
- [특별 기고] 엘리자베스 몰트만-벤델(Elisabeth Moltmann-Wendel)의 페미니스트 생명 신학
- 여성신학의 발전 과정을 통해서 본 성차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