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 Barth’s Spirituality: A Study on Barth’s Ecclesiology in His Doctrine of Reconciliation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강근환(Keun Whan Kan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15호, 287~32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칼 바르트의 영성에 관한 본 연구는 그의 교회교의학 제4권의 화해론에서 전개된 교회론을 중심으로 고찰되었다. 바르트의 교회론은 기독론적 교회론이다. 그에게 있어서 교회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고백한 성도들의 교제로서의 신앙공동체인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적 역사적 존재 형태이다. 그러나 교회의 머리 되신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영인 성령을 통하여 역사하신다. 이에 그의 교회론은 성령논적 교회론이기도 하다. 곧 교회는 성령의 일깨우는 능력에 의하여 집합되고, 성령의 생동케 하는 능력에 의하여 건설되고 그리고 성령의 조명케 하는 능력에 의하여 세상에 파송되는 것이다. 세상에 파송되는 교회의 존재 이유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주 되시는 그리스도를 사랑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그리스도께서 사랑하신 세상과 사람을 위하여 서랑하고 섬기는 데 있다. 그러므로 바르트의 교회론은 그리스도론적-성령론적 교회론(Chrstologico-Pnewmatologico Ecclesiology)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n K. Barth’s spirituality is studied through his ecclesiology developed in his Doctrine of Reconciliation of Church Dogmatics IV. For Barth, the Christian Church is His body as community of faith, i.e., the earthly historical form of Him. Barth’s ecclesiology is Christologico ecclesiology. However, Jesus Christ works on His Church through His spirit, the Holy Spirit. Thus, his ecclesiology is Pnewmatologico Ecclesiology, as well. The Christian Church is gathered by the awakening power of Holy Spirit, is built by the aliving power of Holy Spirit, and is sent to the world by the enlightening power of Holy Spirit. The Church which is sent to the world exists for the world as well as human being. That is to love Jesus Christ and God who sent the church to the world. In this sense, Barth’s ecclesiology is Christotlogico-Pnewmatologico Ecclesiology.
목차
I. 서론
II. 바르트(Barth)의 화해론에 대한 기초적 이해
III. 기독론적 교회론과 성령의 능력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혜암신학연구소 2021 상반기 학술세미나> 제1세미나: 물질적 부와 기독교 영성
- <혜암신학연구소 2021년 상반기 학술세미나> 제2세미나: 마르크스의 물질주의와 기독교 영성
- 『신학과 교회』 제15호 발간에 붙이는 글
- 아우구스티누스와 영성: 탐욕이 미덕인 시대에 다시 읽기
- 청교도의 영성과 공화주의
- 코메니우스의 영성과 인문주의 정신
- 경건과 디아코니아
- 웨슬리의 영적 감각 사상과 칸트 이후 신(神)-인식론
- 칼 바르트(Karl Barth)의 영성: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화해론에서 기독론적 교회론과 성령
- 기독교 민중해방운동과 영성
- [서평] 김균진 교수의 『기독교 신학』 4권과 5권에 대한 서평
- 기독교 영성의 유형들과 통합적 이해: 현대 세계의 자연의 위기와 연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혜암신학연구소 2021 상반기 학술세미나> 제1세미나: 물질적 부와 기독교 영성
- <혜암신학연구소 2021년 상반기 학술세미나> 제2세미나: 마르크스의 물질주의와 기독교 영성
- 『신학과 교회』 제15호 발간에 붙이는 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