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at structures to present to learners, when, and how: Focusing on relative clause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명(Yong-Myeong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7권 2호, 63~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sed on the observed developmental trajectory of relative clause acquisition in learner language,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al sequence for relative clauses, referred to as the Relative Sequence (R-Sequence) , in the order of SRC (Subject Relative Clauses), ORC (Object Relative Clauses), CRC (Clause Relative Clauses), and (GRC Genitive Relative Clauses) by revisiting previous studies on relative clauses (Doughty, 1991; Keenan & Comrie, 1977; Kuno, 1974). The R-Sequence is theoretically supported by an analysis of the acquisition processes of relative clauses. Following this sequence enables learners to enhance their learnability while allowing teachers to facilitate their teachability.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sequence in classroom settings, the study suggests Sentence Construction Tests consisting of critical relative clauses representing each stage in the R-Sequence. By implementing these tests, it is possible to diagnose not only which stage learners are in and what errors they tend to make, but also determine what structures should be presented to them in the next stage of the sequence, thus providing viable insight into “timely remedies and tailored teaching” for learners. In conclusion, the R-Sequence offers a potential answer to the question of which rules or structures to present to learners, when, and how.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R-SEQUENCE (RELATIVE-SEQUENCE)
Ⅳ. R-SEQUENCE에 따른 관계절 습득 순서 분석
V. R-SEQUENCE의 실제 교육에 적용 가능성 탐색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elief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effective teaching skills
- 어떤 구조를 언제 어떻게 학습자에게 제시할 것인가? - 관계절을 중심으로
-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well-being, and intentions to quit the profession
- The impact of explicit instruction on collocation use in L2 speaking tasks
- 주어의 유생성이 비대격 동사 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derstanding Local and International Students’ Perspectives on Local-English Code-Switching in EMI Classrooms
- 프랑스어 교수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디지털 연수 모델 연구: 이론적 탐색과 사례 분석
- 기계번역을 활용한 그리스어 명령법 교수-학습법 제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