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well-being, and intentions to quit the profession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Ian Moodi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7권 2호, 25~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eacher attrition remains a critical issue in education, yet few studies have examined it among language teacher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investigates how occupational well-being and three dimensions of occupational commitment (affective, normative, and continuance) relate to intentions to quit the profession among Korean public school English teachers (N = 8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ffective commit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quitting intentions (β =-0.52, p < .001), while well-being, norma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school leve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attachment (i.e., affective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is a stronger driver of teacher retention than workplace well-being among public school English teachers. This finding contrasts with prior research with expatriate English teachers in Asia, where well-being was a strong predictor of turnover intentions. Despite limitations due to sample size,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retention strategies that cultivate affective commitment and thus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chool leaders and policymakers.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S
IV. RESULTS
V. DISCUSSION
VI.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떤 구조를 언제 어떻게 학습자에게 제시할 것인가? - 관계절을 중심으로
- 주어의 유생성이 비대격 동사 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 중심으로
- Belief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effective teaching skills
-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well-being, and intentions to quit the profession
- The impact of explicit instruction on collocation use in L2 speaking task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derstanding Local and International Students’ Perspectives on Local-English Code-Switching in EMI Classrooms
- 교양영어수업의 협력적 글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프랑스어 교수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디지털 연수 모델 연구: 이론적 탐색과 사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